[‘헌법소원’주인공 이석연 변호사]
헌재 결정 뒤 한나라당이나 서울시의 ‘대리인’으로 비쳐져 착잡
▣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신행정수도특별법 위헌 소송의 대리인단 간사로 활약한 이석연(50) 변호사에게는 두 가지 상반된 이미지가 겹쳐져 있다. 진보적이었던 젊은 시절과 달리 지금은 정치적으로 대단히 보수적이라는 정반대의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변호사를 잘 아는 이들은 그가 헌재 연구관(1989~94년)으로 재판관을 보좌하던 시절엔 진보적인 의견을 많이 낸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는 야당(평민당) 추천 몫이었던 변정수 당시 재판관을 보좌하면서 국가보안법상 찬양·고무, 군사기밀보호법상 군사기밀 범위, 노동쟁의조정법상 제3자 개입 금지, 사립학교법상 교원 노동운동 금지 조항 등에 대한 소수의견(위헌)을 내는 데 일조했다.
1994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시민입법위원을 시작으로 시민단체 활동에 열심이었던 것도 진보적인 이미지를 갖게 한 요인이었다. 90년대 중반에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에서 활동하고, 참여연대 운영위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러던 그가 2001년 경실련 사무총장을 그만두면서 낙선·낙천 운동을 겨냥해 “시민운동이 초법화하고 있다”는 등 쓴소리를 쏟아내는 바람에 진보 진영과 척을 지게 됐다. 여기에 국가보안법 폐지에 반대 의견을 내고, 신행정수도특별법에 대한 위헌 결정을 이끌어낸 뒤 이런 평가는 더욱 굳어지는 듯하다. 이 변호사가 변한 것일까?
헌재 결정 직후인 10월23일 서울 서초동 사무실에서 과 만난 이 변호사는 이런 세간의 평가를 잘 알고 있다는 듯 “변한 건 아무것도 없다”며 “공직에 있을 때나 변호사로 일하는 지금이나 가장 큰 원칙은 ‘헌법 정신’을 지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모든 사회 문제는 △법치주의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등 헌법의 기본정신에 따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말하고 있을 뿐인데, 때에 따라 바깥으로 다르게 비쳐지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낙선·낙천 운동에 대한 견해도 이런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이 변호사는 설명한다. “낙선·낙천 운동을 금지하는 법 조항은 잘못됐다고 본다. 그렇지만 실정법을 어기면서 시민운동을 해선 안 된다. 헌법 정신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법 조항을 바꾸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 변호사는 “행정수도 이전의 순수성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헌법에 따른 합의 절차를 안 거치면 국민·국가에 부담으로 돌아온다는 점에서 헌법소원을 제기했던 것”이라며 “지난해 12월 특별법 통과 당시부터 위헌임을 확신했고, 헌소 제기 뒤 한번도 패소할 것이라 생각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 정신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주도적으로 나섰는데, 헌재 결정 뒤 한나라당이나 서울시의 ‘대리인’으로 비쳐져 착잡하다”고 덧붙였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최상목, 위헌 논란 자초하나…헌재 결정 나와도 “법무부와 논의”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덕유산 ‘눈꽃 명소’ 상제루…2시간 만에 잿더미로
‘주 52시간 예외 추진’에…삼성·하이닉스 개발자들 “안일한 발상”
윤석열 ‘헌재 흔들기’ 점입가경…탄핵 심판 가속에 장외 선동전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미국 경제에도 ‘부메랑’…트럼프는 ‘관세 폭탄’ 왜 밀어붙이나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법치 근간 흔드는 윤석열·국힘…헌재 협공해 ‘불복 판짜기’
캐나다·멕시코, 미국에 보복 관세 맞불…‘관세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