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베이징올림픽 종목별 탁구 Table Tennis 금메달 4개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신델렐라로 꼽혔던 종목이 탁구다. 2.5g의 공으로 승부하는 탁구는 서울올림픽에서 올림픽 정식종목이 됐고, 한국 대표팀은 중국과의 경기를 승리로 이끌며 탁구를 ‘국민 스포츠’로 격상시켰다. 그 주역인 현정화와 유남규가 이끄는 한국 대표팀은 적지인 베이징에서 어떤 성적을 거둘 수 있을까?
광고
일단 전망은 어둡다. 1988년 전성기 이후 한국 탁구는 빠르게 쇠퇴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동메달 5개,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 동메달 2개, 2000년 시드니올림픽 동메달 1개로 내리막을 걷다가,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 유승민이 남자 단식에서 금맥을 이었고 이은실-석은미 선수가 여자 복식에서 은메달을, 김경아 선수가 여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추가해 겨우 상승세를 잡았다. 그러나 베이징올림픽에서 그 상승세를 이어가기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탁구가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뒤 16년 동안 아테네올림픽까지 20개 금메달 가운데 16개를 쓸어간 중국은 탁구 강국이다. 게다가 경기 장소가 중국의 안방이다. 중국은 남자부에 세계 최강 왕하오, 2위 마린, 4위 왕리친을, 여자부에 ‘탁구 여왕’ 장이닝, 세계 2위 궈웨, 4위 왕난 등 정상급 선수들이 촘촘히 자리잡고 있다. 제갈공명과 관우가 합세해도 쓰러뜨리기 힘들 정도로 막강하다.
그러나 포기할 수는 없다. 최근 내분 사태를 딛고 조양호 협회장(한진그룹 회장) 체제가 들어선 시점에, 중국을 깨고 두드러지는 성과를 내 탁구 발전을 위한 계기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광고
한국 탁구의 짐은 남자부에서 아테네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유승민(세계 8위), 오상은(KT&G.), 윤재영(25위)과 여자부에서는 에이스 김경아(11위), 중국에서 귀화한 당예서(22위), 박미영(23위)에게 지워졌다.
한국 탁구는 그 길을 새로 도입된 단체전에서 찾는다. 단식-단식-복식-단식-단식 형태로 진행되는 단체전에서 오상은-윤재영이 복식을, 아테네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유승민이 단식 두 경기를 잡아주면 승산이 나온다. 단체전은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눠 리그를 치른 뒤 각 조 1위가 4강에 진출한다. 중국이 1번 시드를 받을 게 확실한 가운데 현재 랭킹 2위인 한국이나 독일, 홍콩에 2번 시드를 내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승까지 중국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자부도 사정은 비슷하다. 일단 목표는 단체전 준결승 진출. 국가별 랭킹은 5위로 떨어져 올림픽 단체전 4강 시드 획득이 불가능하다. 여자는 중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순으로 4강에 포진했다. 반드시 잡아야 할 싱가포르, 홍콩, 일본도 만만치 않다는 이야기다. ‘수비수 콤비’ 김경아(세계 11위)-박미영(23위) 조가 듬직하고 중국 출신의 귀화 선수 당예서(22위)도 일본 오픈에서 세계 4위 왕난을 꺾는 이변을 일으킨 데 힘입어 종전보다 기량이 좋아지고 있다.
광고
단식에서는 유승민의 2연패 여부가 관심거리다. ‘이면타법’의 귀재 왕하오와 다시 한 번 혈전을 벌여야 한다. 아테네올림픽 때 유승민이 승리했지만 전적은 왕하오가 16승2패로 앞선다. 홈 팬들의 뜨거운 응원을 등에 업고 아테네 대회 설욕을 노리는 왕하오 이전에도 넘어야 할 산은 첩첩이다. 랭킹 8위인 유승민이 4강 시드를 받지 못한 탓이다. 13번 싸워 한 번 이긴 마린을 비롯해 왕리친, 독일의 티모 볼 등은 유승민에게 상대 전적에서 앞선다. 금메달을 기대하는 유승민의 앞길에 만리장성보다 더 높은 벽이 첩첩이 놓여 있는 셈이다.
● 베이징올림픽 탁구 종목 국가대표
남자
감독 서상길(58·KT&G) 코치 유남규(40·대한탁구협회)
선수 오상은(31·KT&G) 유승민(26·삼성생명) 윤재영(25·국군체육부대)
여자
감독 윤길중(50·현대시멘트) 코치 현정화(39·KRA)
선수 김경아(31·대한항공) 박미영(27·삼성생명) 당예서(27·대한항공)
의외로 적다. 그리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스위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선고 지연되면, 문형배 직권으로 선고일 지정해야”
국힘,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음모’ 혐의로 고발한다
행님 내는 2번을 찍었는데, 후회한다
‘연쇄 탄핵’이 ‘내란’이면, ‘윤석열 내란’은 뭔가? [3월31일 뉴스뷰리핑]
정권 교체 57.1%·연장 37.8%…이재명 무죄 뒤 격차 커져 [리얼미터]
윤석열 탄핵심판 지연에 경찰 피로도 극심…1월 초과근무 113시간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