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7월29일 오후 정규직 전환 사업장을 방문했다. 고용노동부 제공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선언 이후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양면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고용불안 해소, 임금 인상 효과와 별개로 공공기관 인건비 부담이 늘고 정규직으로 직접고용하면 공공서비스 효율이 떨어진다는 부정적 인식도 있었다.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직접고용과 자회사 전환을 둘러싼 논란과 갈등이 지속됐다. 청소·경비·콜센터 등 이른바 ‘비핵심 업무’를 자회사로 전환한 공공기관도 많았다. 이 때문에 자회사로 전환한 공공기관에서는 기존 ‘간접고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지속된다는 지적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논란 속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직접고용해 공공서비스 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비용을 절감한 공공기관들도 있었다. 정규직 전환 노동자들의 책임감, 소속감 증가 같은 손에 잡히지 않는, 정서적 변화가 공공서비스 개선 등 실질적 변화로 이어졌다.
*우아무개씨와 박상민씨의 사례가 번갈아 등장합니다.
국민연금공단 콜센터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은 공공기관이 콜센터 노동자를 직접고용한 첫 사례였다. 2012년 국민연금 콜센터 용역업체에 입사한 우아무개(42·여) 상담주임은 2019년 1월1일 정규직 전환 전까지 두 차례 소속 용역업체가 바뀌었다. 10년 넘게 콜센터 상담 업무를 용역업체에 맡기면서 상담 업무에 대한 정규직들의 이해도도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첨부 문서 확인이 필요한 경우 국민연금공단 지사의 담당 부서로 상담 전화를 넘기더라도 “왜 콜센터에서 처리하지 않고 지사로 넘기냐”는 핀잔을 듣곤 했다. 전문 상담을 위해 국민연금 외에 기초연금 기본 업무 등을 익혔던 우씨는 점차 소속감과 자부심을 잃어갔다.
광고
우씨는 2019년 1월1일 정규직 전환 후 난생처음으로 노동조합에 가입했다. 노동절인 5월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국민연금지부 소속 조합원으로 노동조합 조끼를 입고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집회에 나가기도 했다. 우씨는 콜센터 동료들과 함께 집회 현장에 있는 것만으로도 감회가 새로웠다. 성과급 등으로 동료들끼리 과당경쟁을 붙이거나 불합리한 업무 지시를 해도 근로계약서 조항 때문에 단체행동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우씨는 기대감을 드러냈다. “전환 전 근속 햇수 인정,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해소 등 처우 개선에 노동조합이 적극적으로 나서주니까 나도 구성원이 된 것 같더라고요. 아직은 정규직 전환 뒤 이룬 성과는 없지만 노조 활동으로 근무환경이 개선되리라고 생각해요.”
국민연금공단의 정규직 전환 당시 내부에서도 공공서비스 질 저하로 인한 국민 불만 증가 등의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국민연금공단은 5월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주관한 콜센터 서비스품질지수(KSQI) 평가에서 공공부문 48개 기관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정규직 전환 뒤에도 공공서비스 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15년 연속 1위를 기록한 것이다. 김성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과 한 통화에서 “처우 개선과 갈등·대립 해소, 전문성 강화 등의 과제가 남았지만 노동자 개인의 고용안정과 직장 내 차별 해소가 공공서비스 질 향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2017년 5월 취임 뒤 첫 외부 일정으로 인천국제공항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를 말했을 때 우씨 역시 기대가 커졌다. 하지만 우씨도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집회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알고 있었다. “신분 상승이나 공무원 수준의 대우를 해달라는 건 아니었어요. 자신이 하는 일을 정당하게 인정받고 싶다는 것일 텐데 의미가 잘못 해석돼 안타까울 때도 있어요. 적절한 인정이라는 기준이 모호하고 제각각 다르게 해석할 수는 있어요. 그래도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당연한 것처럼 여겨진 차별과 위험부담 등을 없애려고 시작한 정규직 전환 취지를 잊지 않았으면 해요.”
조윤영 기자 jyy@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단독] 이진숙 ‘4억 예금’ 재산신고 또 누락…“도덕성 문제”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마은혁 불임명 직무유기”…비상행동, 한덕수 공수처 고발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
‘65살’ 노인 연령 기준, 44년 만에 손보나…논의 본격화
다이소 고속성장의 이면…납품업체들 “남는 건 인건비뿐”
“8대 0으로 파면하라!”…시민들, 헌재 향한 ‘집중 투쟁’ 돌입
‘용산’ 출신, 대통령기록관장 지원…야당 “내란 은폐 시도”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