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 사진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2006년 6월9일 오늘에도 북한을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역시 예민한 문제다. 불과 한 달 전 “한국전쟁은 북한의 통일전쟁”이라고 발언한 강정구 동국대 교수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형을 받았던 것을 떠올릴 필요도 없다. 친북좌파와 수구꼴통이란 적의에 찬 표현은 남한 내 북한에 대한 시선의 날선 대립을 잘 보여준다.

강 교수 판결이 난 다음날 북한 관련 책 한 권이 나왔다.
가볍게 얘기하고 싶다지만 그가 양보할 수 없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라 우리의 얘기”라는 점이다. 동두천 물난리, 오징어떼, 꽃게, 주식시장, 비무장지대 산불 등 남쪽과 북쪽이 남이 아니라 운명 공동체라는 메시지를 일상 곳곳에서 찾아 전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시각은 남과 북 어느 한쪽에 쏠려 있지 않다. 갈라진 남북의 모순도 예리하게 집어낸다.
그는 굳이 설명이 필요 없는 인물이다. 혹 그의 이름이 낯설다 하더라도 그의 얼굴을 모르는 이는 거의 없다. 비인기 프로그램(?)이긴 하지만 20여 년 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그의 얼굴은 이제 프로그램의 상징이 됐다. 그는 국내에서 손에 꼽을 만한 ‘북한통’ 기자다. 북한전문기자로서 그의 꿈은 Mr. 김정일과 차 한 잔 마시며 수다 떠는 게 아니라 단독 인터뷰다.
그는 “북한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느냐”는 물음에, “아는 게 시작”이라고 말한다. 자, 그럼 이제 그의 통일 안내서를 들고 편안하게 한번 북한과 우리 자신을 들여다볼까요?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길목서 ‘키세스 이불’ 덮고 밤샘…“비상식적 선고 날까봐”
케이블타이에 감긴 기자, 입 열다…계엄군 “가져와” 하더니 [영상]
보수 조갑제 “한덕수, 윤석열 편인가 나라 편인가…오판하면 비참한 말년”
“저희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조회수…자영업 구하러 효심이 나섰다
윤석열 선고, 광주 초·중·고 학생들이 지켜본다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국힘 요구에 “그건 윤석열이 해야”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 대 0’ 외 다른 길 있나?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