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홍보의 최전선에서 활약했던 간판화가의 오늘… 디지털 실사 사진에 밀려나 일감 찾기도 어려워
관객 100만이 꿈이던 시절, 극장 전면에 가득 찬 화려한 채색의 극장 간판은 행인들을 환상과 모험 세상으로 이끌었다. 영화가 끝난 뒤 다시 한번 극장 간판을 바라보면서 영화의 감동을 가슴에 새기기도 했다. 그 당시 극장 간판은 극장의 얼굴이었고 홍보의 전부였다. 1천만 관객이 현실이 된 지금, 요즘의 복합상영관에는 그 자리를 디지털 실사 사진들이 대신하고 있지만, 예전의 간판만한 위치를 차지하지는 못한다.

영화산업의 환경이 많이 바뀌었지만 그 속에서 아랑곳없이 30년간 극장 간판을 그려온 서울 신촌 그랜드극장의 이찬영(52) 미술부장.
광고
“80년대가 극장 간판의 전성기였죠. 개봉일이면 영화 관계자들이 올라가는 간판을 보며 흥행이 잘 되길 빌고, 주연 배우들은 간판의 자기 얼굴을 배경으로 사진도 찍고…. 이젠 볼 수 없는 풍경이죠.”
극장 간판이 실사 사진으로 교체되면서 극장 미술가들 중 대부분은 수출 그림을 제작하는 서울 삼각지로 자리를 옮겼다. 1주일에 2~3편씩 극장 간판을 그리는 이 부장은 그림에 대한 후회나 미련은 없다고 한다.
빠르고 간편하다는 이유로 실사 사진을 사용하지만 시간과 정성을 들여 수작업한 간판과 비교가 되겠는가. 디지털이 효율성은 높을지라도 아날로그의 감성은 따라올 수 없을 것이다.

광고


광고

사진 · 글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중국 34%, 일본 24%
[속보]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김건희 재수사는
[속보] 윤석열, 내일 탄핵심판 선고 출석 안 한다
엄마는 총 맞아 으깨진 턱과 손으로 언니를 업고 왔다 “꼭 알려, 살아서…”
한국 상호관세 25%…‘FTA 비체결’ 일본 24%보다 왜 높나
윤석열 파면되면 방 뺄 준비해야 하는데…“김성훈이 말도 못 꺼내게 해”
‘당원 매수’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무효형 확정
국방부 “대통령 복귀해 2차계엄 요구해도 불응할 것” 재확인
[단독] 요양원서 심혈관 약 누락…80대 입소자는 석 달 만에 숨졌다
트럼프, 아시아에 ‘관세 폭탄’ 집중 투하…캐나다·멕시코 쏙 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