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끝내 도착해야 할 곳은 ‘극장’입니다. 하지만 모든 영화가 극장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세상은 어떤 영화들을 향해 ‘그런 영화’는 극장에 갈 수 없다고 말합니다. 영화 이 바로 ‘그런 영화’였습니다. 은 돌아오지 못한 소녀들, 일본군 위안부 소녀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거의 100년 전에 짓밟힌 고귀한 넋들이 왜 아직도 제대로 된 사죄를 받지 못하고 있는지를 묻는 이야기가 영화가 되는 과정은 험난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너무 불편하니, 그만 잊자고 했습니다. 어차피 개봉도 못할 영화 애쓰지 말라고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래서, 이 영화는 반드시 극장으로 가야 했습니다. 그 엉켜 있던 실타래를 풀어준 것은 놀랍게도 관객들이었습니다. 거북한 기억이라고 마냥 밀어낼 수만은 없다는 작은 마음들이 끝내 영화의 버팀목이 되어주었습니다. 잊는다고 없었던 일이 될 수 없고, 마주하지 않는다고 해서 불편함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평범한 마음들이었습니다.
의 조정래 감독은 영화의 출발점이 한 장의 그림이었다고 말합니다. 그 그림의 제목은 ‘태워지는 처녀들’입니다. 은 그 기억에 대한 담담한 기록입니다. 물론 담담하기 어려웠습니다. 배우와 스태프들은 촬영 내내 함께 우는 게 일이었다고 합니다. 그 눈물은 아픔이었습니다. 기록하려는 자들의 슬픔이었고, 밀려난 기억을 오늘의 마음들과 이어내고자 하는 이들이 기어코 디뎌야 할 바닥이었습니다.
13년의 준비, ‘크랭크인’조차 기적이었던 의 작업은 이제 ‘파이널 컷’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 영화가 극장으로 오는 시간 동안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뉴스펀딩’으로 6억여원의 시민 후원금이 모였고, 미국 의회에서 미니 시사회도 열렸습니다. 그 사이 ‘살아 있던 증언자’ 여덟 분이 총총히 역사의 기억으로 묻혀가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주어진 몫을 해내려는 산 자들의 힘으로 영화는 이제 꾸역꾸역 마지막 관문 앞에 서 있습니다.
오늘도 어떤 이들은 “일본이 위안부를 강제로 동원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제대로 된 사과를 거부하기도 했습니다. 의 뉴스펀딩을 진행했던 송호진 기자는 은 위안부 역사를 부정하는 이들에게 보내는 영화적 반박문이라고 말합니다. 타국에서 숨진 위안부 소녀들의 넋에 띄우는 ‘뒤늦은 우리의 위로문’이란 얘기입니다. 이런 말이 가능하다면, 은 이제 귀환 직전입니다. 아직 예측할 수 없는 난관이 더 있을 수 있겠지만, 어쨌든 영화가 개봉한단 사실은 이제 바뀌지 않습니다.
먼 길을 돌아 이제 극장 앞에 서게 된 의 비범한 기적. 그 현장에 여러분을 미리 초대합니다. 11월18일(수) 저녁 7시부터 서울 홍익대 앞 ‘미디어카페 후’에서 의 조정래 감독, 임성철 PD 겸 배우 그리고 송호진 기자가 함께 여러분을 맞습니다. 밴드의 축하 공연도 마련했습니다. ‘뉴스펀딩’에 참여하셨던 분, 독자 모두 환영합니다. 어떤 마음이라도 좋습니다. 함께해주십시오. 기꺼이.김완 기자 funnybone@hani.co.kr출연 조정래 감독, 임성철 PD 겸 배우, 송호진 기자
일시 2015년 11월 18일(수) 저녁 7시
장소 미디어카페 ‘후[Hu:]’ (홍대입구역 2번출구)
참가비 무료
참가신청 02-710-0505 / arum@hani.co.kr (이름, 연락처, 이메일 기재)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우원식 “한덕수, ‘내란 특검’ 후보 추천 의무 오늘까지 이행하라”
[속보] 노상원 ‘계엄 수첩’에 “북의 공격 유도”… 정치인·판사 “수거 대상”
“탄핵 반대한다더니, 벌써 들뜬 홍준표…노욕만 가득” 친한계, 일침
[단독] HID·특전사 출신 여군도 체포조에…선관위 여직원 전담팀인 듯
안철수 “한덕수, 내란 특검법은 거부권 행사 않는게 맞다”
[단독] 윤석열, 4·10 총선 전 국방장관·국정원장에 “조만간 계엄”
계엄의 밤, 사라진 이장우 대전시장의 11시간…“집사람과 밤새워”
“내란 직후 임명…자격 없다” 국회 행안위서 바로 쫓겨난 박선영
롯데리아 내란 모의…세계가 알게 됐다
‘내란의 밤’ 4시간 전…그들은 휴가까지 내서 판교에 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