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한테도 기회가 오는군요. 밖으로 나가 전화받겠습니다.” 목소리의 담담함에 전화 건 기자가 오히려 당황했다. 잠시 뒤 이야기를 시작한 그는 “교원 연수 중”이라고 했다. 제주시 아라1동에 사는 독자 양원철(43)씨다. 제주 오현고에서 8년째 윤리와 사회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오현고면, 대기고와 라이벌 관계라는 그 학교?=맞다. 다들 라이벌이라고 하는데, 역사로 따지면 그 학교는 우리 학교의 반밖에 안 된다.
-제주 지역도 사교육·선행학습이 심각한가.=서울만큼은 아니겠지만, 제주라고 예외겠는가. 사실 중2 올라가는 아들 녀석도 사교육 시장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그 무섭다는 ‘중2’의 학부모가 되는 기분이 어떤가.=나중에 내가 있는 학교에 오겠다고 할까봐 걱정이다. 학교는 훌륭하지만, 부자가 함께 다니면 아무래도 불편하지 않겠나.
-그럴 수도 있겠다. 제주는 겨울이 다 끝났나.=이틀 전 8살 난 딸이 마당에 꽃이 피었다고 해서 나가보니 매화 세 송이가 피었더라. 오가다 보면 도로 주변의 볕 잘 드는 곳은 유채꽃이 활짝 피었다. 관광객이 몰려서 사진 찍고 그런다.
-요즘 제주도 맛집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서 회자된다.=나야 살기 위해 먹는 사람이라 일부러 찾아다니진 않는데, 고기국수는 먹을 만하다. 비싼 게 흠이지만.
-얼마나 하길래….=국수 한 그룻에 5천~6천원 하는 게 말이 되나.
-비싼 거 아닌데…. 은 언제부터 어떤 계기로 구독하게 됐나.=2005년쯤. 친구 부탁으로 유력 보수신문을 구독하게 됐는데, 그래도 시각의 균형은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에 신청했다. 어려운 신문사를 도와주자는 생각도 있었고.
-만족하나.=주류 세계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어려운 사람들 이야기를 꾸준히 실어줘서 좋다. 다만 종이 질은 지금보다 더 떨어뜨려도 된다. 보관하는 데 번거롭다. 창고에 쌓아두는데 애 엄마 핀잔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어떤 기사를 읽고 싶나.=사라져가는 것에 관심이 많다. 시골의 당집, 오래된 건물. 지방문화재 답사가 있으면 가끔 참여한다. 도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달 그림자” 윤 궤변에…국힘서도 “손바닥에 ‘왕’ 써도 하늘 못 가려”
[단독] ‘체포 시도’ 여인형 메모에 ‘디올백 최재영’ 있었다
중국의 보복관세는 왜 하필 석유·석탄일까
국내 첫 ‘철도 위 콤팩트시티’…남양주 다산 새도시에 건설
특전사, 내란 9개월 전 ‘국회 헬기 착륙 장소’ 점검했다
[단독] 대답하라고 ‘악쓴’ 윤석열…“총 쏴서라도 끌어낼 수 있나? 어? 어?”
2월 6일 한겨레 그림판
‘부정선거 주장’ 황교안 전 총리, 윤석열 변호인단 합류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급한 일 해결” 이진숙, 방송장악 재개?…MBC 등 재허가 앞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