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격 태격
[티격 태격]
“엘리트 체육 위주의 스포츠 육성은 이제 그만”
“6·25 즈음인데 한국전쟁 기사 분량 적어”
이연경: 안녕하세요? 표지이야기 ‘3부 리그 선수들의 월드컵’부터 얘기해볼까요?
광고
박지숙: 사실 K리그에 2부·3부까지 있는지도, 투잡을 하면서 뛰는 선수들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4년에 한 번씩만 축구를 좋아해서 죄송하다는 말을 드리고 싶어요. ‘우리에게 축구는 국가였다’ 기사가 말해주는 것처럼 축구뿐만 아니라 올림픽 종목들도 메달에만 목숨 걸잖아요. 스포츠를 너무 민족적·국가적으로 보고 응원하다 보니 즐기지 못하는 거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이연경: 네, 하지만 월드컵을 응원하면서 소속감을 느끼게 되잖아요. 2002년 공동 응원 이후에 광장문화도 생겼고요.
박지숙: 이분법적으로 보는 건 아니지만, 현재 한국 스포츠의 문제점은 국위 선양을 위해 엘리트 체육만 육성하는 거예요. 그 덕분에 소속감도 생기지만 이제 우리도 스포츠로서 즐길 때가 되지 않았나 싶어요. 앞으로 나아지겠죠ㅋㅋ.
이연경: 저는 ‘그 한 골, 세계 냉소에 대한 북의 응답’ 기사를 읽으면서 찔렸어요. 가난한 나라의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면, 축하보다 신기하게 생각했던 것 같아요.
광고
박지숙: 그런 선입견이 무섭죠.
이연경: 특집 ‘경찰은 당신이 60년 전에 한 일을 알고 있다’는 어떠셨어요?
박지숙: 60년이 지나도 달라진 게 없다는 것이, 또 대부분의 사람이 요시찰 카드에 대해 모르고 있다는 것이 소름 돋을 정도였어요.
이연경: 당시 사람들은 전쟁 이후 반공을 당연하게 여기고 살았잖아요. 저는 그렇게 감시를 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는 걸 당시 사람들이 인식했다고 보지 않아요. 그래서 경찰을 탓할 순 없지 않을까요.
광고
박지숙: 전 그리 생각지 않아요. 독립한 지 얼마 안 됐을 때의 경찰은 반공을 자기 목숨처럼 여기지 않으면 친일의 흔적을 세탁할 수 없었기에 더더욱 반공에 투철했어요. 이 기사에서 아쉬운 것이 왜 민주정부 때는 이를 고치려 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빠진 거예요. 과거 민주정부 10년 때 어땠는지, 알면서도 안 했는지. 이 부분을 좀 다뤘다면 좋았을 텐데…. 다른 건 어떠셨어요? 전 너무 월드컵 얘기만 한다는 생각을 했어요. 814호도 축구 얘기였고.
이연경: 한국전쟁이 있던 즈음인데 관련 기사는 특집 하나였네요. 기획 ‘가난뱅이 500만원 결혼 대작전’은 어떠셨나요?
박지숙: 솔직히 전 읽어도 별 매력을 못 느끼겠어요.
이연경: 새로운 결혼 스타일, 소비 습관을 바꾸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새롭긴 했지만, 한편으로는 무조건 소비를 줄이자는 게 공감이 안 됐어요.
박지숙: 저는 가난뱅이 기획 대신 착한 소비나 공정무역 쪽으로 기획을 잡았으면 더 좋겠다고 생각해요. 삽화에 엄마가 딸 혼수 장만하는 로망을 빼앗았다는데, 그것도 엄마가 맘껏 사줄 형편이 되니까 로망인 거죠. 가끔 보면 이 진짜 서민의 생각이나 감정을 놓칠 때가 있어요.
이연경: 이번호 얘기는 거의 한 것 같죠?
박지숙: 그렇네요. 연경씨는 방학인가요?
이연경: 네. 방학하고 일주일 동안 여행 다녔어요.^^
박지숙: 좋겠다~.
| |
〈한겨레21〉 816호
→ 축구를 잘 모릅니다. 월드컵도 있고 해서 관심을 좀 가지려 했는데. 한 지인은 제가 답답하다며 그냥 축구 말고 ‘탁구’(드라마 말입니다)를 보라고 충고하더군요. 축구에 대한 무지 덕에 아무런 치우침 없이 기사를 읽었습니다. K3 리그 선수들의 축구 인생을 그들의 자서전을 읽듯 읽었습니다. 축구를 더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K3 리그, 힘내십시오! sjan3004
→K3 리그에는 관심이 없었는데. 프리미어리그 좋아한다고 축구팬이라고 떠벌리고 다녔던 제 자신이 부끄럽네요. mistyalley
→ 국민조차 설득하지 못하는 천안함 합동조사단의 결과 발표, 설득력 없는 증거들을 ‘팩트’라고 들이대니 이런 일이 생기는군요. 참여연대 큰일 했습니다. Razorx
→ 천안함 사건은 원점에서 다시 조사돼야 한다. 논란을 불식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 아닐까. 천안함 보고를 왜곡·조작한 국방부는 천안함 조사에서 지원만 하게 하고 제외하는 게 옳다. 이거 뭐 믿을 수가 있어야지! teil0202
→ 정부가 오류투성이 논리로 외교적 망신을 사는 행동을 해도 가만 놔두고 지지하는 게 올바른 국민의 자세란 말인가? 정부에 일방적으로 편을 드는 것이야말로 우리나라의 건전한 비판 정신을 말살하려는 비이성적 행동이란 걸 명심해야 한다. thoonzee
→ 통 큰 정치 한번 해주시기를 바라며… 이제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실 줄 믿습니다. 그래도 대중의 인기를 고려하면서(정치니까) 인기 없는 민생, 특히 일자리·교육·주거 안정에 힘써주시기를 기대하면서, 대환영합니다. yiminsuhione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최상목, 국회서는 “외환 안정 문제 없어”…뒤로는 ‘강달러’ 투자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