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탄주 얘기 쉽게 하지 마라
<한겨레21>의 시각을 믿지만 술과 술문화에 대한 견해는 이해가 안 간다. ‘정치의 속살’ 같은 코너에서 폭탄주 얘기를 재미로 소개하는 등 술 얘기를 종종 다루는데, 폼나게 마시고 취하는 게 폼나는 것이며, 취해서 실수한 건 무용담이라는 식으로 얘기할 때가 있다. 사람이 그럴 수 있다는 걸 알지만, 쉽게 볼 문제가 아니다.
남편이 노동쟁의법 위반으로 구속돼 재판을 받게 되면서 강간·살인 등 중범죄 사건의 심리를 옆에서 들을 기회들이 생겼다. 놀라운 건 모든 사건들이 취중에 일어났다는 사실이다. 또한 변호사나 검사가 본인 주량에 비해 얼마냐 마셨냐고 묻는 걸 보면서, 강간과 살인은 멀쩡한 이가 아니라 술이 저지른다는 식의 논리를 범하는 것 같아 매우 놀랐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문제시되지 않는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선 취할 만큼 마시지 않고, 술집 손님이 취하면 판 사람이 안전 귀가를 책임지도록 법제화됐다고 한다. 과음은 문화적으로 경계되고, 법적으로도 규제돼야 한다. 법정에서 이 문제를 심각하게 느낀 지 5년째인데, <한겨레21>이 거꾸로 가는 듯해서 말해본다. /llhhjj0904@hanmail.net
미국 무기냐, 한국 무기냐보다 중요한 건
568호 ‘구한말, 죽음의 장사 판치다’를 봤다. 가장 먼저 찾는 박노자씨의 글인데 이번엔 실망이 컸다. 대미 무기 의존은 분명 문제가 있고 하루빨리 극복돼야 하지만 ‘정말 중요한 얘기는 그게 아닌데’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미국 무기든 우리가 만들든 무기가 늘어나는 건 마찬가지 아닌가. 미국 무기냐, 한국 무기냐가 아니라 무기와 전쟁 그 자체를 얘기해야 하지 않을까. /김호근 서울시 종로구 누상동
▶ 지당한 말씀이다. 무기는 흉기이며, 군은 역사 속에서 만악의 근원이었다. 군축과 평화 체제 도입이 급선무라는 건 나 또한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무장이 당분간 없어지지 못한다면 무기를 누가 어떻게 만드는가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문제가 된다.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미국에서 무기를 아예 수입하지 않거나 상당 부분 자국 생산이 가능한 유럽의 주요 국가들, 중국, 러시아는 이라크 침략 동참을 강요받아도 거절할 수 있지 않았나. 반면 독일·프랑스·영국보다 수적으로 3배가량 많은 군대를 보유한 한국은 수치스럽게도 공범으로 나섰다. 그 원인 중 하나는 대미 예속이고, 곧 무장의 자국 생산 한계이다. 거듭 말하지만, 나는 군사라는 제도화된 살육을 매우 혐오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미국의 군수 복합체에 한국이 예속된 게 큰 재앙을 부를 수 있기에 경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박노자
* 독자의견에 채택되신 분께는 동서양을 가로지르며 펼쳐지는 인물들의 기상천외한 이야기, 오귀환의 <사마천, 애덤 스미스의 뺨을 치다>를 1권씩 드립니다. 21세기 상상력으로 동서양의 역사를 뒤집습니다. 인터넷 http://h21.hani.co.kr, ‘기사에 대한 의견’ 이메일 groove@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체포 명단 폭로’ 홍장원 인사에 윤석열 고개 ‘홱’…증언엔 ‘피식’
[속보] 윤석열 “선관위 군 투입, 내가 김용현에게 지시”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윤석열 ‘의원체포 지시 전화’ 증언 마친 홍장원 “토씨까지 기억”
“총 쏴서라도” “체포 지시” 검찰 진술 장성들, 윤석열 앞에서 ‘딴소리’
전한길과 정반대…한국사 스타 강사 강민성 “부끄럽다”
이재명, ‘허위사실 공표죄’ 선거법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계엄날 “아무 일 없었다”는 윤석열 “호수 위 달그림자…” [영상]
한동훈 복귀 ‘초읽기’…김종인·조갑제 이어 유인태까지 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