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30여년 전, 내가 시골에서 어렵게 공부할 때였다. 농고를 다닌 나는 졸업 뒤에 영농을 해보겠다며 예비고사도 치르지 않았다.
70년대는 전국이 새마을 운동으로 법석을 떨 때다. 새벽마다 농촌에서는 ‘새벽종이 울렸네…’ ‘잘 살아보세…’ ‘백두산에 높은 정기 이 땅을 수호하고…’ 등 계몽성 노래가 동네 마이크를 타고 우렁차게 울려퍼졌다. 나도 삽과 괭이를 지게에 지고, 마을길과 농삿길 넓히는 현장을 쫓아다니며 열심히 일했다. 아버지를 도와 농사일도 해나갔다. 그러나 그 일은 오래가지 못했다. “나가라. 농사일 시키려고 공부 가르친 거 아닌께.”
다시 책을 잡았다. 소박한 영농의 꿈은 접었다. 방송통신대학이란 곳이 있다는 것을 어렵사리 듣게 되었고 나는 농학과에 입학했다. 혼자 공부하다시피 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사전이 늘 필요했다. 그때 구입한 것이 지금 내게 다시 돌아온 국어와 영한사전이다. 국어사전은 ‘78. 3. 2. 공주 세종사’, 영한사전은 ‘76. 7. 8. 공주 세종사’로 겉표지 안쪽에 파란 잉크로 구입 날짜와 책방 이름이 쓰여 있다. 그 뒤 같은 대학 초등교육과에 다시 입학해 공부할 때까지 나와 10여년을 함께했다.
광고
세월은 흘러 자식들이 중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다. 그래서 아들이 사전을 물려받아 몇년 쓰더니 전자사전이 편리하다며 멀리했다. 그 뒤 책꽂이에 처박혀 거들떠보지도 않던 두권의 사전을 나는 몇년 전에 다시 내게로 데려왔다. 27년, 29년 된 사전들이다. 지금은 교실의 내 책꽂이에 꽂아놓고 아름아름한 것들이 나오면 얼른 사전을 집어들고 찾아본다. 겉표지가 닳고 찢어졌어도 나에게는 보배다. 교실을 떠날 때까지 함께하련다.
남궁명/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영상] 우원식, 한덕수 멈춰 세워 “할 일, 안 할 일 구분하시라” 작심 발언
대법 ‘이재명 사건’ 초고속 심리…대선 막판 태풍의 눈 될까
황교안, 나경원 떨어졌다고 “국힘 경선도 부정선거”
문 전 대통령 “황당한 기소”…이재명 “명백한 정치 보복”
전광훈, 기자에 “당신은 범죄자야”…아수라장 된 대선 출마 회견
[속보] 검찰, 문 전 대통령 뇌물혐의 기소…옛 사위 특채 의혹
“설악산에서 여성 살해”…50대 열흘 만에 자수
사법 리스크 재점화 막으려…민주 지도부, 대법 이재명 재판 대응에 신중
김문수 벌금형 확정…‘코로나 때 전광훈 교회 예배’
드럼통 들어가더니 [한겨레 그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