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살씩 나이를 더 떠안게 된 독편위원들이 1월13일 저녁 한겨레신문사로 모여들었다. 어떤 이는 새 직장 생활을 시작했고 어떤 이는 직장을 떠날까 한다고도 했다. 741~744호 모니터링도 내용이 엇갈렸다. 꽃미남 사진에 열광하고 ‘우아하게 내려가기’에 머리를 맞대다가 가자전쟁과 미네르바 구속을 마주치면 말이 없어졌다. ‘세계를 보는 의 자세’와 ‘인터넷 공간의 자유를 어떡해’, 마지막으로 ‘독편위원이 뽑은 우아하게 내려가기’를 토론 주제로 선정했다.
의 ‘세계를 보는 창’
홍경희: 743호 기획연재 암스테르담의 사례가 지금까지 연재된 것 중 가장 의미 있게 느껴진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관점과 그것을 관철할 정책적 의지가 있다면, 한국에서도 암스테르담을 구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인구 72만 명에 자전거가 60만 대라니! 듣기만 해도 매력적이다. 또 암스테르담은 ‘다량의’ 공공주택을 ‘세심하게 배치’한다. 도시계획에 ‘관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역설한다.
이수택: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려다 보니 그런 건가. 앞에서는 누구나 집을 살 수 있는 것처럼 말하고 뒤에 따라오는 기사에서는 암스테르담의 집값이 유럽에서 네 번째로 비싸다거나 주택보급률이 떨어져 신도시를 건축한다고 말했다. 문제의식이 없는 건가. 또 서울처럼 1천만 명 이상의 사람이 1천만 대의 자전거를 이용한다고 하자. 자전거 도로가 답인가.
최우리: 기획연재의 첫 번째 기사였던 취리히 편을 보고 기획의도를 모르겠더라. 주거권, 환경, 교육문제 등으로 일목요연하게 나눠 도시를 비교하든지, 각 도시가 어떤 어려움을 극복하고 현재의 도시를 만들었나 보여주든지 해야 하지 않나.
이현정: 다섯 개의 도시가 선정된 이유도 정확히 설명이 안 됐다. 740호 취리히 편은 ‘행복’ 일색인 반면, 744호 도쿄 편은 대도시 개발의 후유증이 함께 실렸다. 도시별로 균형이 맞지 않는다.
최고라: 기사에는 암스테르담이 ‘다양성 인정’에 성공했다지만 실제로 내가 갔을 때는 슬럼화된 지구도 많고 민족 문제가 아슬아슬한 느낌이었다. 차라리 ‘이주노동’ 문제를 각 도시가 어떻게 풀었는지 비교해봤으면 어떨까.
진보경: 각 도시의 성공사례를 한국에 접목할 수 있을지 각 분야 전문가가 판단해보는 자리가 있으면 좋겠다.
이수택: 국제면은 읽으면서 참 고맙다는 생각을 한다. 아프리카, 남미 등의 소식은 다른 곳에서 찾아보기 쉽지 않다. 740호 ‘콜레라 지옥, 참담한 짐바브웨’와 같은 기사는 알려줘서 고마울 뿐이다. 몇 개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좀더 다양한 지역의 소식을 알려달라.
이현정: 가자 전쟁 관련 보도를 잘 보고 있다. 앞으로 국제사회가 어떻게 해결해가는지에 더 초점을 맞췄으면 한다.
최고라: 좀더 친절한 세계 기사가 보고 싶다. 많이 알려진 거라고 해도 전쟁과 같은 상황에서 ‘하마스’가 왜 문제가 되는지 작은 상자기사로 설명해주는 것도 독자에겐 큰 도움이 된다.
최우리: 가자 전쟁과 관련해 인터넷에 쏟아지는 기사보다 이 전후 맥락을 잘 짚어줬다.
최고라: 미등록 아동 문제, 어렴풋이 알고 있던 얘기인데도 접할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 대안이 필요하다.
홍경희: 743호 레드 기획 ‘국경 없는 음식점, 5천원의 행복’은 국경을 넘는 손쉬운 방법을 알려줬다. 세계 소식을 접하면서 뭔가 할 수 있는 것을 더 알려달라.
인터넷 공간, 자유는 어디로
진보경: 독편위원으로서 온라인 사이트에 올리는 글을 군대에서 휴가 나온 오빠가 보더니 “너 이런 거 쓰면 잡아간다”고 하더라.
이수택: 이제는 과격하게 쓰지도 않는데 자기 검열이 된다. 정부가 그걸 노리고 미네르바를 잡지 않았겠나. 인터넷의 위기, 민주주의의 위기다.
유재영: 741호 특집 ‘MB 법안이 옥죄는 2009년 가상 현실’은 재밌었지만 ‘MB 법안’을 좀더 정색하고 설명해줬으면 싶었다. 지금까지도 대개 굵직한 법안만 알지 내용을 다 모른다. 내역이라도 풀어 알려야 한다.
이수택: 국회에서 폭력을 휘두르면 안 된다, 인터넷에서 욕설하면 안 된다… 모두 당위성 있는 말이다. 그 선을 어디에 둬야 하는지가 문제다.
홍경희: 최진실의 자살로 여론은 사이버 모욕죄에 호의적이었다. 미네르바처럼 아무나 막 잡아가는 현실에서 언론이 이 법안의 허구성을 똑똑히 보여줘야 한다.
최고라: 저쪽에서는 프레임을 다 짜놓고 공격하는 것 같은데 안타깝다. 여기에 말리지 않도록 더 냉정하게 대처해야 한다.
이수택: 사실 악플 문제는 교육의 영역이다. 의식의 문제를 봐야 한다.
진보경: 10년 뒤 역사를 재평가할 때 미네르바 구속 같은 사건이 웃음거리가 될 것 같다.
최우리: 우린 경제 문제에 매몰된 세대다. 공안 세대가 아닌 20대·10대에게 MB 정부가 신선한 ‘역사 교육’을 현장 체험하게 하고 있다.
“바쁘다 바빠”라고 말하지 않기사회: 신년호에서 기자들이 각자 ‘우아하게 내려가기’ 실천 과제들을 내놨다. 독편위원들도 각자 생각하는 ‘우아하게 내려가기’를 하나씩 말해달라.
유재영: 인근 대학교에서 데이트하기. 각종 강연회부터 부대시설 이용까지 재미가 쏠쏠하다.
이수택: 감기 걸리면 보건소 가기. 감기는 500원, 기초건강검진도 5천원이면 된다.
최고라: “바쁘다”고 말하지 않기. 따지고 보면 그렇게 바쁜 것도 아닌데 그 말을 달고 살았다.
진보경: 혼자 있는 시간 즐기기. 혼자 서점 가고 영화관 가고, 내 취향대로 마음껏.
이현정: 도서관에 새 책 신청하기. 나도 보고 다른 사람도 보고 좋지 아니한가.
최우리: 올해는 주말에 내가 좋아하는 야생동물 그리기를 꾸준히 해보려고 한다.
위원 일동: 기자들이 각자 써낸 ‘우아하게 내려가기’를 어떻게 실천했는지 언젠가 꼭 AS 해주기 바란다.
사회·정리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 |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나훈아, ‘왼쪽 발언’ 비판에 “어른이 얘기하는데 XX들 하고 있어”
불교계, ‘윤석열 방어권’ 원명 스님에 “참담하고 부끄럽다”
[단독] “윤석열, 체포 저지 위해 무력사용 검토하라” 경호처 직원 폭로
[단독] 윤석열 ‘가짜 출근’, 경찰 교통 무전에서도 드러났다
임성근 “채 상병 모친의 분노는 박정훈 대령 말을 진실로 믿은 탓”
1월 13일 한겨레 그림판
‘군인연금 월500’ 김용현, 체포 직전 퇴직급여 신청…일반퇴직 표기
‘22살 조선소 잠수부 사망’ 현장엔 신입뿐…감시인도 ‘미숙련자’였다
경호처 직원 ‘전과자’ 내모는 윤석열…우원식 “스스로 걸어나오라”
판사 출신 변호사 “경호처 직원 무료변론…불법적 지시 거부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