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게 자란 뒷머리 장식깃과 노란 멱이 선명한 어미 저어새들이 5월29일 경기도 김포 들녘 논에서 목욕하며 날개를 펼쳐 깃털을 고르고 있다. 막 알에서 깬 어린 저어새는 짠 바닷물고기를 먹지 못한다. 어미는 바닷가 둥지에서 멀리 떨어진 김포 들녘까지 날아와 새끼에게 줄 먹이를 배 속에 넣어 간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81/imgdb/original/2020/0622/531592823993441.jpg)
길게 자란 뒷머리 장식깃과 노란 멱이 선명한 어미 저어새들이 5월29일 경기도 김포 들녘 논에서 목욕하며 날개를 펼쳐 깃털을 고르고 있다. 막 알에서 깬 어린 저어새는 짠 바닷물고기를 먹지 못한다. 어미는 바닷가 둥지에서 멀리 떨어진 김포 들녘까지 날아와 새끼에게 줄 먹이를 배 속에 넣어 간다.
해마다 봄이면 한반도 면적의 6.3%(13,867.94㎢) 정도가 물에 잠긴다. 쌀을 재배하려고 논에 퇴비를 깔고 물을 채워 갈아엎기 때문이다. 국내 최대 면적의 인공습지인 논에 모내기가 시작될 무렵 새들이 논으로 돌아온다. 키 작은 모 사이에 제일 먼저 눈에 띄는 새는 다리가 긴 쇠백로, 중백로, 황로, 왜가리다. 마을 산에 둥지를 튼 쇠백로와 중백로는 논을 ‘먹이터’로 삼는다. 이슬 맺힌 벼 포기 사이를 헤치고 다니며 먹이를 찾던 장다리물떼새와 원앙, 흰뺨검둥오리는 논에 둥지를 틀어 새끼를 키워내기도 한다. 기다란 뒷머리 장식깃과 노란 멱이 선명한 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1호)가 둥지에서 멀리 떨어진 논까지 날아든 이유도 새끼에게 줄 먹이를 구하기 위해서다.
벼가 제법 자란 경기도 파주 들녘에서는 논 습지에서만 발견되는 뜸부기 울음소리가 들려온다. 농부는 논물을 넣고 빼기를 거듭하고 모내기와 벼 베기를 규칙적으로 반복한다. 이러한 논의 변화에 새도 적응하며 살아간다. 해마다 계절 변화에 맞춰 새와 벼는 무럭무럭 자란다.
![벼 포기 사이를 헤치며 먹이를 찾던 흰뺨검둥오리가 고개를 들어 주변을 살핀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264/imgdb/original/2020/0622/1515928239936493.jpg)
벼 포기 사이를 헤치며 먹이를 찾던 흰뺨검둥오리가 고개를 들어 주변을 살핀다.
![꿩](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808/imgdb/original/2020/0622/8715928239935633.jpg)
꿩
![장다리물떼새](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99/imgdb/original/2020/0622/2415928239936076.jpg)
장다리물떼새
![원앙 암수](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741/imgdb/original/2020/0622/2215928239935196.jpg)
원앙 암수
![왜가리](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812/imgdb/original/2020/0622/8115928239933665.jpg)
왜가리
![번식깃으로 화려하게 치장한 황로 무리가 경기도 파주 논두렁에서 쉬고 있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496/1000/imgdb/original/2020/0622/6315928239934814.jpg)
번식깃으로 화려하게 치장한 황로 무리가 경기도 파주 논두렁에서 쉬고 있다.
파주·김포·화성=사진·글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김새론 비보에 유퀴즈 정신과 교수 “사회가 오징어게임 같아”
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향년 25
‘문재인 수거’ 노상원 수첩 검찰 송치…신빙성 인정한 경찰
“김건희 ‘선생님~ 조국 수사한 김상민 검사, 의원 되게 해주세요’”
김새론 비보에 김옥빈 ‘국화꽃 애도’…지난해 재기 노력 끝내 물거품
[단독] 윤석열처럼 ‘내란 장군’도 보호?…인권위 ‘임시 군인권소위’
박지원 “조태용, 거짓말할 이유 100개 넘어”…홍장원 메모 의심 반박
[단독] 인권위 ‘윤석열 방어권’ 반대의견…“제2의 서부지법 사태 우려”
“비상계엄은 정당, 부정선거 검증하라”… 대학에서도 극우 시위 준동
‘윤석열 부부 공천개입 의혹’ 서울중앙지검 이송…강혜경씨도 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