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역촌노인복지관에 위치한 ‘우당탕목공소’에선 평균연령이 70살인 어르신 12명이 하루 2시간씩 격일로 돌아가며 가구를 만든다. 2011년 7월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작은 우편함을 만들며 시작된 것이 지금은 책장, 의자, 수납장, 어린이 교구장 등을 만들어 여러 곳으로 판매할 만큼 전문화됐다. 나무를 자르고 깎고 다듬어야 하는 거친 일이라 위험하고 기력도 필요하지만 그동안 작은 사고 한번 없었다고 한다.
이곳에서 일하는 탁경태(72)씨는 “금전적인 부분도 있지만 아침에 일어나 일터로 나갈 수 있다는 소속감을 느껴서 더 좋다. 젊은 시절로 돌아간 듯하다”고 말한다. 2013년 현재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2.2%를 차지하고 있다. 해마다 고령화되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심판분(73)씨는 “취직하려 해도 나이를 물어보고는 바로 퇴짜를 놓는다. 식당일에도 써주지 않는다. 나이가 어때서 그러는데, 난 아직 젊어!”라고 한다.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 하니 백발이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란다.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세월의 문제, 이제는 함께 공감하며 살아갈 방법을 찾아야 할 때다.
사진·글 정용일 기자 yongil@hani.co.kr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쓰고 코치하고 끼어들고…곽종근 나오자 분주해진 윤석열
안희정 쪽 ‘피해자 괴롭히기’ 끝나지 않았다
윤건영 “경호처 ‘생각우체통’ 민원 80%가 김성훈 차장 비리”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윤석열 ‘대왕고래’ 8달 만에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최상목 “가로 3번 접혔다”는 계엄 문건…대통령이 준 걸 안 봤다?
[영상] 국힘 강선영 “야!”…국민 듣는데 동료 의원에 폭언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김건희 리스크 궁지’ 10월 계엄군 선발…“장기집권 계획 가능성”
[단독] 내란 군 수뇌부, 설날 ‘떡값’ 550만원씩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