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디찬 훗카이도 유바리 탄광촌에 남겨진 조선인들의 한맺힌 그리움
침략전쟁의 ‘타는 돌’을 캐내던 1만1천명 육신은 끝내 돌아오지 못했나네
▣ 홋카이도=황자혜 jahyeh@hanmail.net
홋카이도의 중심, 소라치 지방의 남쪽에 위치한 유바리시. 메론의 특산지로, 대규모 스키장으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이곳 한쪽에 조선인 강제 징용의 역사가 얼어붙은 차디찬 유배지, 유바리 탄광이 자리잡고 있다.
광고
1912년께만 해도 광대하기 그지없었던 홋카이도 땅 전역에 걸쳐 조선인은 단 41명뿐이다. 그러나 1945년 일제가 패전할 당시엔 강제 연행으로 끌려온 이들이 무려 11만 명에 달했다. 항만, 비행장, 댐 건설 외에도 많은 이들이 탄광의 군수 노역에 동원됐다. 그리고 유바리시의 1만1천여 명 조선인들은 해방이 된 뒤에도 끝내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탄광 노동자로 징용돼 검붉은 피땀을 흘려야 했던 그때 그 사람들.
차라리 세상을 뜨끈하게 데우는 일이었다면 몸을 사르겠건만, 20대의 펄펄 끓는 청춘들은 일제 침략전쟁의 길을 닦는 데 쏟아부어진 ‘타는 돌’을 캐내며 육신도 영혼도 다 태워야만 했다. 눈 덮인 이국 땅의 찬 자리에서 보이지 않는 검은 삭신으로, 이름 없는 혼으로 떠돌며, 검붉은 그리움과 한을 고스란히 게워내고 있다.
‘흑다이아’라 불리던 유바리 탄광의 석탄은 700m 땅속에 위치한 공포와 우려되는 가스 폭발 사고, 정부의 에너지 합리화 정책으로 쇼와의 깃발을 털고 저만치 사라졌다. 하지만 ‘탄광역사마을’이란 이름으로 남겨진 옛 유바리 탄광촌 한쪽에는 아직도 돌아가지 못한 조선의 신령들이 선뜩한 돌이 되어 강제 징용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대답 떠먹여준 지귀연…직업 대독하자 윤 ‘고개만 끄덕’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기억하세요, 희망은 좋은 것입니다 [그림판]
[영상] 윤석열, 헌재 판단도 깡그리 부정하며 93분 ‘궤변 퍼레이드’
공수처 인사위원이 한덕수 고소…“검사 7명 임명 미뤄 직무유기”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검찰, ‘김혜경 법카’ 항소심서 벌금 300만원 구형…내달 12일 선고
백종원 출연 ‘남극의 셰프’, 첫 방송 연기…“편성 일정 조정”
스포츠윤리센터, 유승민 징계 요청…“탁구협회 후원금 유치 근거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