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발견된 6·25 전사자 유해들, 드디어 전쟁터에서 떠나다
▣ 포항=사진·글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광고
한반도를 할퀸 한국전쟁의 총성이 이 땅에 울린 지도 어느새 55년이 지났다. 그러나 10만3천여명의 참전 전사자들은 여전히 주검이 발견되지 못한 채 흙 속에 방치되고 있다. 뒤늦게 1999년부터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이 시작됐지만, 2004년까지 발견된 유해는 총 1106구. 전체 발굴 대상 유해의 1%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2007년 1월 국방 유해발굴감식단을 창설해 더욱 적극적으로 발굴작업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2005년 첫 발굴 대상지인 경북 포항시 흥해읍 도음산 정상. 3월24일, 육군 전사자유해발굴단 소속 부대원들과 포항지역 해병대 제1사단 소속 장병들이 작업 시작 열흘 만에 나무뿌리와 뒤엉킨 유골 더미를 발견했다. 200여평에 달하는 가매장 추정지에서 장병들이 키높이만큼 땅을 파며 수색을 진행했지만 뼛조각 하나 나오지 않던 상황이었다.
전문 감식단이 유골들을 수습한 뒤 해병 제1사단 병사들이 유골이 담긴 나무상자를 들어올렸다. 현장의 장병 모두 거수경례로 예를 갖췄다. 발굴 기간 내내 내리던 비와 눈은 가시고, 파랗게 열린 하늘에서 햇볕이 비쳤다.
사자(死者)가 된 지 55년 만에 말라버린 몇 마디의 뼛조각이 되어 고지에서 내려오는 용사들. 이들을 운구하는 해병대원들의 발걸음이 가벼워 보였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박지원, 정대철에게 “너 왜 그러냐” 물었더니 대답이…
이재명 상고심 ‘속전속결’ 1일 선고…대선 최대 분수령
한덕수, 선거사무실 이미 계약…‘무소속으로 단일화 뒤 입당’ 유력
한덕수 부른 국민이 도대체 누군데요…“출마 반대·부적절” 여론 압도
김상욱, 권성동에 반발…“기분 나쁘다고 해당행위 단정은 잘못”
홍준표 “제 역할은 여기까지”…탈당·정계은퇴 선언
김건희 오빠 운영 요양원에서 노인학대 정황…당국 현장조사
이낙연이 어쩌다 한덕수와…“정치적 무덤, 시대의 엇박자”
[단독] ‘한나라당’ 출신 권오을 전 의원, 오늘 경북서 이재명 지지 선언
“나도 모르게 SKT 폰 해지, 5천만원 인출됐더라…알뜰폰 개통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