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리게 변화하고 있는 일본 도쿄의 에다가와 조선인학교… 혁명가와 남조선 노래를 함께 흥얼거리며
▣ 도쿄=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 글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일본 도쿄 고토구의 에다가와 조선인 학교.
조선말 배우랴, 일본말 배우랴, 주중 닷새의 수업시간이 모자라 에다가와 학생들은 토요일에도 나와 수업을 받는다. 5월14일 오전에는 전교생이 운동장에 나와 그림을 그렸다. 저학년은 소방차를 그리고, 고학년은 학교 풍경을 그렸다.
광고
한때 180여명에 이르던 학생 수는 차츰 줄어 올해는 60명이다. 1996년엔 중급부가 없어졌다. 일본 사회의 ‘소자화’(아이를 적게 낳는 현상) 때문이기도 한데, 낡은 학교 건물 아래 줄어드는 학생들을 보는 교사들의 마음은 편치 않다.
현재 한 반의 학생 수는 10명 내외. 일본인 학교 학생 수가 30명 정도인 걸 보면 아주 적은 숫자다. 하지만 학생들은 예의 바르면서도 착하고, 선생님을 잘 따른다. 한국이나 일본 학교에서 나타나는 ‘왕따’나 ‘학교 붕괴’ 현상도 없다.
조선인 학교는 변하고 있다. 2002년 교실마다 붙어 있던 김일성·김정일의 초상화도 내려졌고, 교과서도 북한 일변도의 내용에서 탈피해 통일 조국을 염두에 두고 개편됐다.
하지만 변화의 속도는 일반이 느끼기 힘들 정도로 느리다. 되레 북한의 근대와 일본의 탈근대가 아이들에게서 교차한다는 표현이 더 적절할 것 같다. 아이들은 음악시간에 혁명가를 배우다가도 쉬는 시간엔 남조선 노래를 흥얼거린다. 집에 가서는 인터넷을 뒤적거리고, 영어 과외를 받는다.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대답 떠먹여준 지귀연…직업 대독하자 윤 ‘고개만 끄덕’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마지막 소명’을 위해 [그림판]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공수처 인사위원이 한덕수 고소…“검사 7명 임명 미뤄 직무유기”
[영상] 윤석열, 헌재 판단도 깡그리 부정하며 93분 ‘궤변 퍼레이드’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검찰, ‘김혜경 법카’ 항소심서 벌금 300만원 구형…내달 12일 선고
스포츠윤리센터, 유승민 징계 요청…“탁구협회 후원금 유치 근거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