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 지 1년 된 낙동강 합천보의 하류에 재퇴적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낙동강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에 따르면 합천보에서 직하방한 물로 보 주변의 강바닥이 9.7m나 파이는 세굴 현상이 발생했다. 세굴 하류 쪽엔 다시 모래가 쌓이는 재퇴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퇴적된 모래 위로 녹조로 추정되는 오염원이 쌓이고 있다. 느려진 유속으로 인해 앞으로 오염원의 발생과 퇴적이 심화돼 이를 다시 준설하는 데도 만만치 않은 비용이 지속적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천의 농경지는 가뭄으로 타들어가는데 4대강 사업으로 가둬놓은 물 13억t은 속수무책으로 썩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 사업을 마구잡이로 추진한 장본인은 가뭄 대책은 내놓지 않고 4대강 사업으로 가뭄과 홍수를 모두 극복했다며 자화자찬에만 열 올리고 있다. 이미 22조원의 돈이 들어갔다. 앞으로 강은 우리에게 얼마나 많은 돈을 쏟아부어라 할 것인가?
광고
사진 낙동강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 제공·글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미국, 한국 25% 등 상호관세 발효…중국엔 104%
검찰 출신 이완규 취임하면…헌재 ‘보수4·중도3·진보2’ 구도 변화
보수도 진보도 질색하는 “기회주의자 끝판왕” 한덕수
너도 내란 가담했지? [그림판]
산불 잿더미 두고…경북지사 이철우, 대선 출마하려 휴가
문형배 울린 ‘김장하’ 어게인…진짜 어른의 뒤를 따라갈 시간
한덕수는 트럼프에게 영어 실력 자랑하지 마라 [정의길의 세계, 그리고]
장제원 사건 피해자 “성폭력 혐의 종결 안 돼…사회적 엄벌을”
[뉴스 다이브] 명태균의 ‘김건희 보고서’ 입수...윤석열 부부 구속 신호탄?
마은혁 헌법재판관 취임…“민주공화국 흔들리지 않도록 힘 보태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