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UTERS/Jo Yong-Hak
북한이 연평도를 포격한 뒤 한반도에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군사적 긴장이 감돌고 있다. 남쪽은 남쪽대로 북쪽은 북쪽대로 서로를 향해 군사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강경론자들이 내뱉는 험한 말들이 평화의 목소리를 묻어버리려 한다.
평화는 바람 앞의 촛불처럼 연약한 것일까. 11월30일 서울 종로 보신각 앞에서 민주노동당이 주최한 ‘전쟁반대 평화실현 촉구 촛불집회’에 참여한 한 여성이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비둘기 그림으로 세차게 부는 바람을 가리고 있다.
사진 REUTERS/Jo Yong-Hak·글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박지원, 정대철에게 “너 왜 그러냐” 물었더니 대답이…
한덕수 부른 국민이 도대체 누군데요…“출마 반대·부적절” 여론 압도
한덕수, 선거사무실 이미 계약…‘무소속으로 단일화 뒤 입당’ 유력
이재명 상고심 ‘속전속결’ 1일 선고…대선 최대 분수령
“국회 가면 누굴 체포하겠느냐” 내란 공판서 경찰 간부 간 통화 녹취 재생
4월 30일 한겨레 그림판
김상욱, 권성동에 반발…“기분 나쁘다고 해당행위 단정은 잘못”
이낙연이 어쩌다 한덕수와…“정치적 무덤, 시대의 엇박자”
검찰개혁 실패하자 내란이 왔다 [아침햇발]
김문수 “6개”, 한동훈 “어렵잖게 30개”…국힘 때아닌 턱걸이 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