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 사진 AP연합
해발 3600m 훙산 기슭까지 뿌연 연기가 치솟는다. 라싸의 거리가 자유를 외친 대가를 치르는 사이, 탄압의 연무는 티베트의 상징마저 덮칠 기세다. 연기에 휩싸인 포탈라궁이 위태로워 보인다.
[%%IMAGE4%%]
‘안전’을 이유로 외부인의 출입은 철저히 통제된 터다. 탱크와 군홧발이 장악한 도심에선 두려운 침묵이 계엄처럼 무겁다. ‘체포냐, 투항이냐.’ 선택의 여지는 애초에 없었던 게다. 베이징올림픽은 떠오르는 중국의 힘. 세계는 티베트의 절규에 손을 내밀지 않고 있다. 고립무원의 티베트, 포탈라궁의 외로움은 깊어만 간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승복 주체’ 바뀐 국힘…이재명 “윤석열이 헌재 결정 승복해야”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전 서울대 총장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윤석열을?
윤석열, 장제원 사망에 “가슴 아파”…피해자 언급은 없어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헌재 길목서 ‘키세스 이불’ 덮고 밤샘…“비상식적 선고 날까봐”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