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글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수험생들에게 명문대 입학은 ‘역사적 사명’ 그 이상이다.
광고
명문대 입학을 위한 관문인 수능은 한나절에 끝나지만, 학벌사회의 ‘등급표’는 평생을 따라다닐 수도 있다. 학교와 가정에서 가르쳤고, 사회에서도 강요했다. “대학만이 살길이다.”
‘역사적 사명’을 띠고 입학한 서울의 한 명문대학 강의실 책상에도 오랜 세월 부정과 편법을 이어온 선배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커닝의 추억을 전하고 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서울고법, 윤석열 21일 공판도 ‘지하 출입’ 허용…특혜 논란
그 많은 수돗물 누가 훔쳤나 [그림판]
비비고 ‘가는 줄무늬 만두’ 미국서 특허받자…중국이 ‘발끈’
“윤석열에 꽃다발 준 입주민, 김태효 모친이었다”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항명 혐의’ 박정훈 대령 쪽 “윤석열 증인 신청하겠다”…항소심 시작
문형배·이미선 퇴임 “대통령-국회 갈등, 헌재가 해소할 수 있어”
박정훈 대령 쪽 “한 사람 격노로 모두 범죄자 된 사건 실체 밝힐 것”
이진숙, ‘수신료 통합징수법’에 “KBS 직원들 위해 국민 희생” 주장
‘계몽’ 김계리 “국힘에 기대 안 해…청년들 또 그들 앵벌이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