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이주의 정기독자] ‘좌기사 우광고’ 유감

등록 2005-05-26 00:00 수정 2020-05-03 04:24

▣ 김수현 기자 groove@hani.co.kr


대한민국에서 가장 무서운 집단, 고3. 활발한 두뇌, 날카로운 신경. 사소한 것에도 깐깐한 이들을 만족시키긴 쉽지 않다. 그러나 <한겨레21>은 해냈다. 안석훈(22)씨의 회고담이다.

“고3 때였어요. 작문 선생님께서 논술 준비를 하려면 시사주간지를 읽어야 한다고 하셨죠. 그래서 수능 언어영역 비문학도 대비할 겸 하나 읽어야겠다고 결심하고는 일단 시중에 나온 잡지를 여러 권 사서는 며칠 동안 읽어갔어요. 그리고 내린 결론이 <한겨레21>. 심층적인 기사들이 마음에 들었죠. 주변에서도 추천을 해주셨습니다.”

그 뒤 한양대학교에 입학해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게 되면서 더욱더 언론을 향해 날을 세우기 시작했다. 게다가 요즘엔 주변에 널린 글자들을 닥치는 대로 읽어가며 세상을 습득하는 중이라 <한겨레21>에 대한 평가는 더욱 엄격해질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사병은 거지인가’ ‘아체의 통곡’ 같은 기사는 아직도 잊혀지지 않아요. <한겨레21>엔 독특한 주제를 선정해서 깊이 있게 파고드는 힘이 있죠.” 또한 ‘사회적 약자’의 의미를 확장해주기도 했다. “예전엔 소년소녀 가장이나 독거노인만 떠올렸거든요. 그런데 우리나라가 더 좋은 나라가 되려면 더 많은 소수자들에게 눈을 돌려야 한다는 점을 <한겨레21>을 통해 알게 됐죠.”

또 다른 묘미는 독자편집위원회 기사다. 한달에 한번 게재되는 글을 꼼꼼하게 읽는다. “다른 사람들의 생각 속에서 제가 미처 몰랐던 걸 발견하는 재미가 있거든요.” 얼마 전 연재가 끝난 ‘디지털 사기열전’도 여전히 기억에 남아 있다. “‘아, 학교에서 국사를 이렇게 배웠더라면’이라는 생각을 계속 했어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민감한 시사 현안을 건드려주는 ‘논단’도 즐겨 읽는다.

하지만 ‘좌기사 우광고’를 만나면 여전히 답답하다. 무심코 옆면에서 마주친 광고로 기사가 중간에 끊기면 맥이 풀린다. 그리고 고등학생들도 찾는 잡지에 술·담배 광고가 항상 게재되는 것도 마음에 걸린다. “논술 준비를 하려면 <한겨레21>을 보라고 광고를 내시는 거 같던데, 괜찮을까요.” 광고의 딜레마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한겨레21>의 고민은 계속된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