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지에서 ‘사표’라는 단어를 보자마자 지난 대선이 떠올랐다. 당시에도 민노당을 지지하려 했으나 그러다가는 이회창이 될 것이라는 절박함에 노무현을 찍었다. 민노당을 찍으면 사표가 된다는 두려움, 이를 덫으로 표현한 것은 적절하면서도 가슴 아팠다. 권영길의 정책을 찬찬히 들여다보는 사람들보다 ‘아, 민노당에선 또 권영길이 나왔구나’ 하며 스쳐가는 사람이 많다는 것, 이명박은 지지하지 않지만 대안이 없으니 이명박을 찍겠다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생각할 때 시의적절한 기사였다. 다만 한 번에 그치지 말고 지속적으로 여러 후보들과 만나고 묻고 들었으면 좋겠다. 이번엔 사표가 두려워 투표하는 순간에 망설이는 일 없이 내 선택에 떳떳할 수 있길 바란다.
최하나
광고
반가운 소식, 자랑스런 이 기분
특집 ‘마침내 양심의 감옥을 벗어나다’는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었다. 말 그대로 ‘마·침·내’다. 오랫동안 고통받으면서도 양심을 저버리지 않고 살아온 병역거부자들, 그리고 가장 먼저 이 문제를 들고 나와 계속 전면에 서 있었던 모두의 승리인 것 같다. 수십 개의 나라가 이미 거쳐갔던 길이라니 가는 길이 외롭지 않겠다. 앞으로도 인권을 생각하려다 보면 비효율적이고 어려워 보이는 일이 많겠지만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를 해결해왔듯이 풀어나갔으면 좋겠다. ‘다음 대통령님, 한발 더 나가주세요’ 기사를 보며 그렇게 인권의식이 있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야 할 텐데, 걱정을 조금 했다. 후보들의 인권의식을 한번 찬찬히 짚어봐야겠다.황준호
광고
이러고도 공중파 방송인가
정준하 사건과 을 다룬 기사를 무한한 공감을 느끼며 읽었다. 실상 한 번도 을 본 적은 없지만 정준하 관련 기사를 인터넷으로 접하면서 분노를 느꼈었다. 의 애청자로서 정준하에게 친근감과 애정을 갖고 있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이번 파동은 그의 하차가 당연시돼야 할 분명한 도덕적 하자를 보여준다. 그런 그를 다른 프로도 아닌 온 가족 대상 프로에 버젓이 출연하게 하고, 공중파 방송의 담당 PD는 도덕적 문제와는 별개로 법적인 처벌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는 뛰어난(?) 도덕적 감수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꿀 방법은 정말 ‘행동’뿐인 것일까? blueblu
광고
정준하가 방송에 나오면 안 된다?
사람들이 을 보는 이유는 간단하죠. 재미있으니까 보는 겁니다. 구성원들의 사생활이나 실제 모습은 사실 시청자에게는 별로 중요한 일이 아닙니다. 방송에서 보이는 모습이 중요한 것이죠. 문제가 되는 건 방송 캐릭터 정준하와 한 개인 정준하 사이의 간극이 생각보다 크다는 것이고, 정준하씨가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인데 이 부분은 인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를 빌미로 방송국은 시청률만을 추구하고, 우매한 대중은 그저 재미만을 좇는다, 비도덕적인 연예인에게 철퇴를 가하는 자만이 진정한 지식인이다, 라는 식의 선동적인 글을 쓰는 것은 좀 불편하네요. junogge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대답 떠먹여준 지귀연…직업 대독하자 윤 ‘고개만 끄덕’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마지막 소명’을 위해 [그림판]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공수처 인사위원이 한덕수 고소…“검사 7명 임명 미뤄 직무유기”
[영상] 윤석열, 헌재 판단도 깡그리 부정하며 93분 ‘궤변 퍼레이드’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검찰, ‘김혜경 법카’ 항소심서 벌금 300만원 구형…내달 12일 선고
스포츠윤리센터, 유승민 징계 요청…“탁구협회 후원금 유치 근거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