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이 바다에 나와 게, 보말만 남았다

무늬오징어 해변 낚시·문어 해루질 실패기…

낚싯대를 잡아채면 애꿎은 미끼만 덜렁덜렁
등록 2017-10-26 21:25 수정 2020-05-03 04:28
장비는 완벽했다. 문어 해루질 장비를 착용한 Z기자.

장비는 완벽했다. 문어 해루질 장비를 착용한 Z기자.

대도시에서 학창 시절을 보낸 것치곤 낚시에 조금 일찍 입문했다. 중학교 1학년 때, 같은 반 친구가 대전 갑천에서 낚시를 한다고 했다. 그에게 장비 가격대와 낚시점 위치를 물어보곤 바로 장비를 갖췄다. 나만의 포인트를 찾았다. 충남 논산시 벌곡면 대둔산 줄기에 맞닿은 하천가였다. 얕은 물과 깊은 물이 공존해 낚시와 어항 놓기, 물놀이가 두루 가능한 곳이었다. 집 앞에서 230번 버스를 타면 1시간30분 정도 걸리는 거리였다.

처음엔 바늘을 던져놓고 마냥 기다리는 보통의 대낚시를 했다. ‘도깨비’ 채비의 존재를 알고 나선, ‘도깨비’ 낚시를 했다. ‘도깨비’ 채비는 엄지손가락만 한 철망과 알록달록한 털이 묻은 미세한 바늘 6개가 달린 낚싯바늘이다. 철망에 떡밥 반죽을 채워 던진 뒤, 낚싯대를 들고 천천히 위아래로 움직이면 물고기가 바늘을 문다. 한 번에 두세 마리씩 무는 경우도 있다. 10cm 안팎의 돌고기, 갈겨니들이 주로 물었다. 가끔 15cm가량의 피라미도 물었는데, ‘아마추어 중학생 낚시인’에겐 그게 월척이었다.

한가로운 취미였던 낚시가 어느덧 피곤하다고 느껴질 무렵, 낚시를 그만두기로 했다. 쉼없이 움직이며 ‘도깨비’ 낚시를 하고 어항 놓는 일이 어떤 집착처럼 느껴졌다. 대학 졸업 뒤 더 이상 그곳을 찾지도, 낚싯대를 잡지도 않았다.

12년 만에 낚싯대 잡을 줄이야

12년 만에 다시 낚싯대를 잡을 줄 몰랐다. 칼럼 ‘X기자 부부의 음주활극’을 연재 중인 X기자가 지난 추석 연휴가 끝날 무렵 제주도로 낚시를 가자고 제안했다. 해변에서 무늬오징어를 잡을 거라고 했다. 최근 텔레비전 방송에 여러 차례 소개되면서 무늬오징어 낚시가 인기를 끄는 건 알고 있었다. ‘그런데 해변에서 무늬오징어를 잡을 수 있다고?’ 갈까 말까 확답을 보류하던 중 나는 어느덧 12년 전 ‘도깨비 낚시’ 하던 풍광과, 흰 쌀밥에 오징어회, 돌미나리와 초고추장, 고추냉이를 넣고 쓱싹 비벼 먹는 비빔밥을 떠올리고 있었다. 결국 그의 제안을 덜컥 물었다. 그리하여 지인인 제주 이주민 O와 X, Y기자와의 무늬오징어 낚시 출조가 성사됐다.

10월13일 금요일 밤 10시, 드디어 서귀포항 방파제에 섰다. 릴낚싯줄을 50㎝ 정도 늘어뜨린 채 머리 뒤로 낚싯대를 넘겼다가 앞으로 던졌다. 릴낚시는 베일(열면 줄이 풀리고 닫으면 멈추는 쇠고리)을 열고 오른손 검지로 줄을 눌러 고정한 뒤, 검지를 떼면서 던져야 한다. 미끼는 오렌지색 새우 모형이었다. 새우 앞쪽에 낚싯줄을 연결하는 고리가 있고, 꼬리 쪽에 바늘 10개가량이 원을 이루며 붙어 있는데 그런 바늘 뭉치가 2개 달려 있다. 낚싯줄을 당기면 새우가 해수면을 향해 헤엄치는 모습을 연출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런 무늬오징어 낚시 미끼를 ‘에기’라 한다. ‘나무미끼’라는 뜻의 일본말이다. 과거 일본에서 나뭇조각에 바늘을 달아 오징어 낚시를 한 데 어원이 있다고 전해진다.

뭐라도 잡아야 하는데…

던진 에기가 바닥에 닿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챔질(낚싯대를 위로 채듯이 당기는 것)을 하고 천천히 줄을 감으면서 가라앉도록 내버려두는 걸 반복했다. O는 “챔질보다 스테이(에기가 다시 가라앉길 기다리는 것)가 더 중요해. 위로 헤엄치다 아래로 천천히 내려갈 때 오징어가 무는 거야”라고 조언했다. 예전 ‘도깨비 낚시’도 그랬다. 낚싯대를 들고 천천히 내릴 때 물고기가 모여들어 입질하면 갑자기 낚아채야 했다. 무늬오징어 낚시는 (훨씬 격렬한) 바다판 도깨비 낚시였던 것이다.

‘어라, 묵직한데?’ 느낌이 왔다. 요동치는 마음을 누르며 더 격렬히 채어 감아올렸다. 수면 위로 쫄쫄쫄 딸려오는 게 무늬오징어도 그냥 오징어도 물고기도 아닌 에기(미끼)라는 걸 확인하곤, 썰물의 저항에 속았다는 씁쓸함만 밀려왔다. 그러곤 다시, 애꿎은 에기를 더 멀리 던져버렸다. 포인트를 조금씩 이동하면서 던질 때마다, 항상 가프(수면 위로 떠오른 오징어를 건져올릴 때 쓰는 바늘 달린 막대)를 옆에 두었지만, 이날 가프를 쓸 일은 없었다.

뭐라도 잡아야 한다는 조바심에 휩싸일 무렵, X기자가 먼저 답답하다는 듯 외쳤다. “해루질이나 하러 가자~.” 전날 또 다른 제주 이주민 S에게 문어 해루질 장비를 빌려놓은 참이었다. 해루질은 간조 때 어패류를 잡는 활동을 말한다. 마침 간조(하루 중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가 다가오고 있었다. 이날 서귀포 간조는 밤 12시 무렵이었다. 서귀포항을 떠나 해루질을 할 만한 포인트로 이동했다. 별 하나 보이지 않는 깜깜한 바닷가엔 아무도 없었다. 해루질하기 좋은 날은 아니었다. 그날은 음력 8월24일(양력 10월13일), 물 수위가 높은 ‘조금’의 바로 다음날이었다. 간조에도 바다 바닥이 별로 드러나지 않았다. 해루질은 음력 15일과 30일, 해와 달과 지구가 일직선에 놓여 만조와 간조의 수위 차가 큰 ‘사리’에 하는 게 좋다.

내가 총대를 멨다. 머리에 헤드랜턴을 쓰고, 가슴까지 올라오는 장화옷을 입고, 양팔에 고무장갑을 끼고, 오른 어깨에 문어 담을 어망을 멘 채, 4절지 크기의 뚜껑 없는 직육면체 모양 아크릴판(잡은 문어를 일단 올려놓는 판)을 목에 걸었다. 오른손엔 문어를 훌쳐 올릴 가프를 잡았다. 바위와 돌이 많아, 뒤뚱뒤뚱 물속으로 걸어 들어갔다. 물이 허벅지까지 차오른 지점에서 아크릴판을 물 위에 대고 랜턴으로 비춰 바위 주변을 살폈다. 아크릴판이 물비늘을 없애 투명한 물속을 볼 수 있었다. 알밤만 한 게와 동전만 한 보말(고둥)이 자주 눈에 띄었다. 게와 보말은 기어다닌다기보다 물결에 몸을 맡긴 채 굴러다녔다. 한참을 게와 보말만 쳐다보고 있었다. 이 세상에 나와 게, 보말만 남은 기분이 들었다.

‘가슴 장화’ 입고 뒤뚱뒤뚱 들어갔지만

‘가슴 장화’가 하나뿐이라는 이유로 나만 홀로 바다로 밀어넣은 X, Y, O가 멀리 해변에서 소리쳤다. “이제 그만 하고 나와. 오래 있으면 안 돼~. 이제 가야 해~.” 제주에선 외지인이 전복, 소라, 해삼은 물론 문어를 잡다가 해녀들에게 거센 항의를 받아 고초를 겪기도 한다. 나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해변의 목소리가 왠지 너무 멀게 느껴졌다. 아랑곳 않고 바위틈을 계속 살폈다. 그 뒤로도 불안감 서린 해변의 외침이 두세 차례 들렸다. 그만 허리를 펴고 해변으로 발길을 돌리자마자 바로 앞 바위 밑에 삐져나온 물컹한 물체가 보였다. ‘문어다!’ 조급한 마음에 한 손으로 바위를 들추다 중심을 잃고 휘청거렸다. 다시 균형을 잡고 보니 모래와 돌뿐이었다. 그새 도망친 건지 원래 없던 건지 알 수 없었다. 아쉬운 마음에 게와 보말 몇 마리라도 주워 갈까 망설였다. 그대로 굴러다니라고 두었다. 낑낑대는 건 나 하나로 족했다.

Z기자
사진 정용일 기자 yongil@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