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10일 경남 거창에서 열린 의 후원자 시사회에 참석한 한 관객이 영화 포스터를 휴대전화에 담고 있다. 송호진 기자
배우들은 입으로 “빵, 빵” 소리를 내며 전투 장면 리허설(사전 연습)을 해야 했다. 제작비가 부족해 공포탄 한 발이라도 아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배우가 공포탄을 진짜로 쏘며 찍는 촬영에서도 입으로 “빵, 빵” 소리를 내고 말았다는 일화를 떠올리며 배우와 스태프들은 웃음을 터뜨렸다. 모두 기쁨에 차 있었다.
자정을 넘긴 시각, 경남 거창군 외곽의 한 숙소에서 의 배우와 스태프들이 조촐한 자축 파티를 열었다. 거창에서 이 영화의 여러 장면을 촬영할 때 숙소로 사용한 곳이다. 그때만 해도 “이 영화가 극장에 걸릴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꿈을 같이 꾸고 있었지만, 과연 그것이 가능할지 장담할 수 없던 시기였다.
하지만 12월10일 저녁, 거창의 극장에서 의 전국 시사회 대장정을 알리는 첫 상영이 시작됐다. 배우들은 자신들의 영화가 곧 상영될 스크린을 뒤에 두고 무대 인사를 하는 순간도 경험했다. 한밤의 작은 파티는 이 여기까지 온 것에 대해 그들 스스로 위로하고 격려하는 자리였다.
시민의 힘으로 만들어진 이 전국에 있는 후원자들을 초대해 진행하는 시사회에 돌입했다. 거창을 출발점으로 잡은 것은 14살에 위안부로 끌려간 주인공 ‘정민’이의 영화 속 고향이자, 지옥 같은 위안소에서 지낸 정민이가 그토록 살아서 돌아가고 싶어 했던 곳이 거창 땅이었기 때문이다.
시사회에 온 후원자들에게 조정래 감독은 “이 영화로 만들어져 드디어 여기까지 오게 됐습니다. 감격스럽습니다. 여러분이 이 영화의 주인이고 제작자입니다”라고 감사의 인사를 올렸다. 2002년부터 준비한 이 영화가 투자자의 외면을 받을 때 5만2525명의 시민이 후원해 이 영화를 일으켜세웠다. 감독은 이들의 이름을 영화가 끝날 때 화면에 올라가는 엔딩 크레디트에 모두 아로새겼다. 한국 영화 사상 가장 긴 엔딩 크레디트다. 이런 긴 엔딩 크레디트는 세계 영화사에서도 전례를 찾기 어렵다.
시사회에 참석한 관객들은 일본군이 가혹한 행위를 할 때 원성을 내뱉기도 했고, 죽은 소녀들을 넋으로나마 귀향시키는 영화 막판 장면에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한 20대 여성 관객은 “위안소에서 실제 겪은 일들이 모두 다뤄졌다면 더 좋았겠지만, 그래도 내가 그곳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 마음이 아팠다”고 했다.
이 영화에서 위안부 역으로 출연한 배우 김시은씨는 “나도 시사회에서 완성된 영화를 처음 봤는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그때 얼마나 아팠을지 그대로 전해지는 영화였다. 많은 영화관에서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기원해주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은 거창(12월10일), 광주(14일), 대구(17일), 대전(19일), 강원도 원주(23일), 부산(28·29일), 제주(2016년 1월5·6일), 서울(15·16일)을 도는 1차 전국 시사회를 한 달여간 진행한다. 은 내년 2월 열리는 독일 베를린영화제에 출품 신청을 한 뒤 초청 여부를 기다리고 있다. 국내의 한 배급사가 이 영화의 극장 배급을 진행하겠다는 뜻을 갖고 제작진과 조율 중이다. 내년 3·1절을 앞둔 2월 말께 개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감독은 개봉 때까지 컴퓨터그래픽(CG) 등의 보완 작업을 계속할 계획이다.
거창=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한겨레 인기기사
“계엄날 윤석열한테 술 냄새…군사경찰이 분명히 맡았다고 해”
“김건희-명태균, 김상민 검사 공천 놓고 다툼…48분 통화했다”
고발당한 권성동…시민단체 “문형배 향한 인격 살인, 악마화”
[속보] 윤석열 탄핵심판 10차 변론 연기 없다…헌재, 20일 진행
[속보] 헌재 도착했던 윤석열, 변론 불출석…구치소 복귀
[속보] 검찰, 국방부 국회협력단 압수수색…‘내란 동조’ 의혹
NYT “설리, 구하라 이어 김새론…죽음으로 내모는 압박 직면”
명태균 “황금폰 때문에 검찰이 수사 조작” 주장하다 법정서 쫓겨나
이명박 찾아간 권성동…“국힘 지도부 정신상태 의심스럽다”
경찰, 이상민 자택 압수수색…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