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일이라는 이름 석 자에는 늘 ‘실크로드’란 말이 따라붙는다. 풀바다에서 주옥을 건져냄을 뜻하는 ‘초양노옥’(草洋撈玉). 동서 문명교류사 연구의 대가 정수일(77)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이 ‘초원 실크로드’ 답사길을 떠나며 내내 움켜쥔 화두라고 한다.
풀바다에서 주옥을 건져내다는 정수일 소장이 펴내는 실크로드 기행문 3부작의 두 번째 권이라 할 수 있겠다. 2006년에 펴낸 책 이 오아시스 육로를 걸은 성과물이라면, 는 초원길, 곧 초원 실크로드를 답사한 보고서다. 그는 2009년 7월까지 2년 동안 초원 실크로드의 전 노정을 대흥안령(大興安嶺) 초원로, 몽골 초원로, 동·서 시베리아 초원로, 네 구간으로 나눠 답파했다 한다.
초원 실크로드는 유라시아 대륙의 북방 초원지대를 동서로 가로지른다. 흑해 동북쪽 남러시아에서 시발하여 카스피해 북안과 아랄해 남안, 그리고 카자흐 초원을 지나 알타이산맥 남록 중가리아분지에 닿는다. 다시 몽골 오르혼강 연안(고비사막 북단)을 지나 동남쪽으로 중국 화베이(화북) 지방과 대흥안령을 넘어 한반도까지 이어진다.
‘초양노옥’의 마음 기저에는 북방 초원 유목문명을 도외시해온 세간의 풍토에 대한 정 소장의 안타까움이 깔려 있다. “근 5천 년 전에 신석기시대를 갓 벗어난 에게해 지역의 애송이 문화를 에게문명으로 정의하면서, 이보다 3천 년 후에 완숙한 금속문화를 가꾼 북방 유목 기마민족들의 문화는 이른바 ‘중심문명’에서 멀리 떨어진 ‘주변문화’로 비하하고 홀대해왔다.”
그의 초원길 답사는 그 문명과 교류의 진면목을 유물과 자취를 통해 드러내는 동시에, 그 길이 어떻게 한반도까지 이어졌는지를 찾는 여정이기도 했다. 초원과 유목, 기마, 그것을 다루는 인간. 이 넷이 초원문명과 초원 실크로드의 가치를 가늠케 하는 기본 요소라고 그는 말한다. 오아시스 육로와 해상로보다도 먼저 개통된 초원길은 역동적인 “유목 기마민족의 활(活)무대”였다.
그는 서양이나 이웃 나라에서 출간된 관련 서적이나 지도에는 한반도가 실크로드에서 제외되고 그 동단이 한결같이 중국에서 멎어 있음을 개탄한다. 해로는 중국 동남해안, 육로는 시안, 초원로는 화베이까지만 이어졌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통설이다.
그는 이 통설이 어불성설이며, 문명교류를 이른바 서구문명중심주의나 중화주의로 재단하는 편견의 소산이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 겨레의 역사적 뿌리를 북방 초원 세계에서 찾아야 한다”는 저간의 중론을 옹호하면서 실크로드가 한반도까지 닿지 않았다면 한반도에 있는 그 숱한 외래 유적·유물의 존재를 설명할 길이 없다고 말한다.
요체는 실크로드를 본디대로 한반도와 연결하는 것이다. 그는 이번 대흥안령 초원길 답사를 통해 그 교류길의 “초보적인 윤곽”을 그려냈다고 자부한다. 그는 한반도와 초원로를 이어준 길은 크게 두 갈래라고 본다. 중국 화베이 지방을 통한 간접 연결로와 몽골 초원에 바로 이어진 직접 연결로다. 그 두 갈래 길에서 환절 역할을 한 곳이 고조선부터 삼국시대까지 대중관계의 요로 위치에 있던 영주(차오양)인데, 그는 ‘영주’에서 ‘주언까다뿌’로 이어지는 길을 답사하고 그 길이 바로 한반도와 북방 초원로를 직접 이어주는 길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그 문명 교류를 증거하듯 그는 차오양 서북쪽 훙산문화의 심장부 츠펑에서 한국형 암각화와 유사한 암각화를 발견한다. 또한 두 문화가 공유하는 곰 토템도 확인한다. 츠펑을 떠나 북쪽으로 가는 길에선 우리네 성황당과 비슷한 ‘오보석’들이 심심찮게 서 있음을 목도한다.
삶, 그 자체인 실크로드머나먼 ‘초원길 행각’에서, 정 소장이 퍼올리는 사유는 요사이 넘쳐나는 부박한 기행문들을 쑥스럽게 한다. 그는 아마 지금쯤 실크로드 3부작의 완결편인 해상로를 답사하고 있을지 모르겠다. 평생 문명 교류를 천착해온 그에게 실크로드는 삶의 현장이요, 국가보안법에 갇혔던 세월도 옭아매지 못한 그의 삶 자체라 할 것이다.
허미경 기자 한겨레 문화부문 carmen@hani.co.kr"_top">carmen@hani.co.kr
* 정수일 지음, 창비 펴냄, 2만3천원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국힘 40여명, 윤석열 체포 막으러 6일 새벽 관저 집결한다
‘체포 협조’ 묵살한 최상목, 경호처 증원 요청엔 ‘협조 권고’
공수처, 6일 윤석열 체포 재시도할 듯…압도적 경찰력이 관건
한남대로에 등장한 ‘인간 키세스’…“웅장하고 아름답다”
“나 구속되면 정권 무너져” 명태균 폭로, 윤석열 계엄령 방아쇠 됐나
서부지법, 명태균 관련 ‘윤 부부 휴대폰 증거보전’ 청구 기각
법원, 윤석열 쪽 이의신청 기각…형소법 110조 미적용도 “타당”
국회 앞 시민들 육탄 방어로 지켜낸 우원식·이재명·한동훈…체포조 막아
무장한 특전사 112명, 계엄 해제 5분 전 민주당사로 출동했다
경찰, 박종준 경호처장 ‘내란 혐의’ 입건…비상계엄 전후 행적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