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28일 오후 양심적 병역거부자들과 관련 단체 회원들이 헌법재판소의 병역법 헌법 불합치 결정 소식을 듣고 기뻐하고 있다. 류우종 기자
“희망이란 원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땅 위에 길과 같은 것이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루쉰, )
반세기 넘게 ‘병역기피자’라는 낙인이 찍혀 산 이들이 있었다. 하나둘 ‘양심적 병역거부자’라는 이름을 얻어 걷기 시작하는 이들이 나타났다. 하나, 둘, 셋… 다양한 사연을 가진 수많은 사람이 같이 걸었다. 2018년 6월28일 그들의 걸음은 길이 되었다. ‘양심적 병역거부자 아무개’가 아니라 ‘대체복무를 택한 시민 아무개’라는 온전한 이름을 찾는 길을 열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장제원 성폭력 피해자 쪽, 오늘 예정됐던 기자회견 취소
‘성폭력 피소’ 장제원 숨진 채 발견…현장에 유서
윤석열 파면이 헌정 수호…헌재는 ‘정치적 흥정’ 말라
‘65살’ 노인 연령 기준, 44년 만에 손보나…논의 본격화
여성단체 “장제원 고소까지 9년…가해자 처벌할 거란 신뢰 못 준 탓”
‘성폭행 피소’ 장제원 전 의원, 고소장 접수 두 달 만에 경찰 출석
미국, 한국에 소고기 수입 제한·무기 기술 이전 시정 압박
“장제원, 성폭행 뒤 돈봉투”…경찰, 피해상황 담긴 글 확보
영주권 있어도 공항서 체포·추방…공포에 질린 미국 교민들
‘마은혁 임명’ 막은 채…‘문형배·이미선 후임’ 카드 꺼낸 국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