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 사진 박승화 기자 eyeshot@hani.co.kr
깡마른 체구에 안경까지 꼈다. 웃는 얼굴에선 수줍음마저 묻어난다. 한눈에 ‘책상물림’이 분명해 보였는데…, 아니란다. 김준철(42)씨는 “특전사 장교 출신”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1990년 학군 28기로 임관해 6년4개월의 군 생활 대부분을 특전사에서 보냈다. 다치지만 않았으면 지금도 군복을 입고 있을 게다.”

중위 계급장을 달고 있던 1993년은 김씨에게 고난의 해였다. 동계 스키훈련 도중 경기 황변산 자락에서 무릎을 다친 게 시작이었다. 회복이 안 된 상태에서 봄철 암벽등반 훈련을 하다 서울 북한산 오봉자락에서 다시 무릎이 꺾였고, 통증을 참아가며 나선 하계 해상척후조 훈련에서 결국 다리가 마비돼 후송됐다. 회복이 된 걸로 알았지만 아니었다. 1년여 뒤 그는 수술대 위에 올라 무릎에 핀을 박아야 했다. 1996년 6월 김씨는 ‘국가유공 상이군인’으로 전역했다.
광고
군문을 나섰다고, 군과 인연이 끝나는 건 아니었다. ‘예비역’이 된 지 11년이 넘었지만, 그는 여전히 ‘군대 문제’에 골몰해 있다. 군사상자유가족연대 등 군의문사 유가족 관련단체 3곳에서 자원활동을 하고 있고, 개혁 성향의 예비역 단체인 평화재향군인회에선 ‘취업정보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군가산점 문제 등 각종 군 관련 논쟁이 있을 때마다 빼놓지 않고 토론회를 쫓아다닌다. “직장 생활도 바쁠 텐데 도대체 왜?”라고 물었더니 대답이 싱겁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고…. 좋아서 하다 보니 버릇이 돼버렸다.”
요즘 김씨는 ‘고 김오랑 중령 추모사업회’ 일에 집중하고 있다. 1979년 12·12 쿠데타 당시 정병주 특전사령관 비서실장이던 고 김 중령은 상관을 붙잡으러 온 반란군에 맞서 싸우다 현장에서 ‘순직’했다. 김씨는 “국민에게 총구를 들이댄 반란군에 맞선 김 중령마저 없었다면 우리 군은 ‘명예’를 입에 올릴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중령의 ‘의거’를 정훈교재에 반영할 것을 벌써 몇 년째 요구하고 있지만, 국방부는 단 한 차례도 대답이 없다. 28년이나 지났는데도, 역사적 평가를 내리지 못한 것 같아 씁쓸하다.” 선선히 물러설 그가 아니다. 고 김 중령의 일대기에 관한 책도 쓰고, 이를 영화로 만들 계획도 세우고 있단다. 영화 제작엔 “이창동 감독과 배우 설경구씨가 나서주면 좋겠다”며 웃는다. ‘예비역 대위’ 김준철씨는 마냥 진지하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복제폰’ 노리는 SKT 해커…‘재부팅 요구’ 절대 따라선 안 돼
4월 28일 한겨레 그림판
한덕수 쪽 “출마 안 하기 어려운 상황”…30일께 출사표 전망
SKT, 국민 절반 피해자 만들고도 ‘이용자 책임’ 따지나
“큰 그림 만들자” 통일교-건진법사 대화에 관저 용역 ‘희림’까지 등장
조국 “윤석열이 괴물된 건 책 안 읽었기 때문”
‘어대명’ 결말 알고도 완주…김동연·김경수, ‘5년 뒤’ 밑돌 놨다
줄줄이 대기 중인 백종원 예능, 더본코리아 논란에도 강행할까
조희대 대법원장은 심사숙고해야 한다 [아침햇발]
전광훈 “2년 안에 윤석열 대통령 복귀” “국힘에 희망이 있어 보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