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특종으로 승부하겠다”

등록 2007-11-09 00:00 수정 2020-05-03 04:25

<font color="darkblue"> 군사안보전문지 낸 전 국방부 정책보좌관 김종대씨의 도전</font>

▣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 사진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두 가지 수식어가 그림자처럼 김종대(42)씨를 따라다녔다. 먼저 ‘보좌관’이다. 그는 14대부터 16대 국회까지, 임복진·유삼남·이창복 등 국회의원 3명을 거치며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잔뼈가 굵었다. 참여정부 대통령직 인수위를 거쳐 청와대에 입성한 그는 국방보좌관실에서 일했다. 지난 4월 공식 출근을 시작한 지 일주일여 만에 사표를 던진 가장 최근의 ‘공직’도 국방부 장관 정책보좌관이다.

중요성에 비해 맥락이 무너진 분야

‘군사전문가’라는 또 다른 별칭은 지난 2002년 차세대 전투기(FX) 사업 논란 속에 추가됐다. 그는 당시 보잉사의 F-15에 치우친 군 수뇌부를 질타했다가, 거액의 명예훼손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 국방부는 별다른 설명 없이 한 달여 만에 소송을 취하했는데, 김씨는 여전히 “당시 다른 기종을 선택했더라면, 현재 군이 자랑하는 고등훈련기(T-50)는 한국형 전투기(F-50)로 업그레이드돼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단다.

“보수와 진보 공히 자기들 편한 대로 안보논리를 왜곡해왔다.” 11월1일 오전 서울 마포의 사무실에서 만난 김씨가 내민 명함에는 뜻밖에 ‘편집장’이란 직함이 박혀 있었다. 10월29일 창간호를 낸 외교·안보 전문 월간지 의 ‘발행인 겸 편집인’이라니, 그에게 ‘언론인’이란 세 번째 별칭이 따라붙을 모양이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문제만 봐도 그렇다.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는 10여 년 전 국민회의 대변인 시절 ‘해상경계선인 NLL을 무시하는 국방장관은 사퇴하라’는 성명을 냈었다.” 김씨는 “지금 정 후보는 정반대의 말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 후보의 당시 주장을 요즘은 재향군인회 등이 하고 있으니, 일관성이 없기는 보수 진영도 마찬가지다. “예전엔 ‘국군포로’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던 보수가 요즘 들어 국군포로 송환을 강조하고 다닌다. ‘주적’이란 표현은 사실 언론에서 먼저 나왔는데, 1980년대 말 국방부에선 ‘북한을 주적이라고 하면 전쟁 선포를 하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반발했었다. 지금과는 사뭇 다른 태도다.”

10여 년째 한 우물을 판 김씨의 눈에 비친 외교·안보 분야는 “중요성에 비해 제대로 된 맥락과 논의 구조가 철저히 와해된 대표적 분야”란다. 이유는 간단했다. “논리적 맥락을 일관 있게 감시하고 걸러주는 사회적 기능이 없었기 때문”이란 게다. 김씨가 현장 경험을 살려 외교·안보 전문지 창간을 결심한 것도 이 때문이다.

김씨를 포함해 상근기자 3명에 새로 영입할 객원기자 2명이 취재인력의 전부지만, 김씨는 “특종으로 승부하는 재미있는 잡지를 내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인쇄소에서 막 가져다놓은 창간호 표지기사는 신정아씨 사건으로 느닷없이 네이버 검색어 순위 1위를 오르내린 무기 로비스트 ‘린다 김’ 인터뷰였다. 오랜만에 언론에 모습을 드러낸 린다 김은 인터뷰에서 “자주국방 최대의 걸림돌은 미국 무기 편중”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무기 로비스트 린다 김 인터뷰

현재 국내에서 나오는 군사 전문지는 대개 ‘마니아’층을 겨냥해 무기체계 소개에 치중돼 있다. 안보 전문지는 한국전이나 베트남전 ‘참전 세대’를 주 독자층으로 삼는 게 일반적이다. 군사·안보 전문지가 대체로 보수 편향성을 보이는 이유다. 김씨는 “군사정권이 막을 내린 뒤에도 여전히 성역처럼 남아 있는 국방·외교·안보 분야에서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토론과 소통의 장을 만들어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최근 김씨는 참여정부 외교·안보 정책에 관여했던 인물들에 대한 인터뷰에 집중하고 있단다. 지금까지 해놓은 인터뷰만도 100여 차례를 넘겼고, 앞으로도 200~300차례 더 인터뷰를 할 계획이다. 최종 목표는 단행본 출간인데, 로 가제목도 정해놓았다. 그는 “외교·안보 정책에 일관성이 없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사료와 시스템이 없다는 점”이라며 “인터뷰 대상자들이 예상 밖의 호응을 보이는 것은 기록 작업이 필요하다는 데 대한 암묵적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초보 언론인’ 김씨의 움직임에 ‘중견’들이 긴장 좀 해야 할 듯싶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