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인환 기자/ 한겨레 국제부 inhwan@hani.co.kr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늙은 기자도 마찬가지다?’
보청기를 한 채 현장을 누비던 영원한 기자 마이크 월리스가 ‘마침내’ 현역에서 물러난다. 월리스는 미국 텔레비전 시사 프로그램의 대명사 격인
월리스는 지난 3월14일 개인 성명을 내어 은퇴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는 성명에서 “여든여덟 살 생일이 다가오면서 특히 눈과 귀가 예전 같지 않아졌다”며 “이제는 뉴스거리를 찾기 위해 장시간 비행기에 몸을 싣는 게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게 느껴질 때가 있다”고 말했다. 1918년 동부 매사추세츠주에서 태어난 그는 오는 5월9일 88번째 생일을 맞는다.
미시간대학에서 방송학을 전공한 뒤 1940년부터 라디오 기자 생활을 시작한 월리스는 해군 통신장교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뒤 1951년 처음으로
15년 전부터는 심장박동 조절장치에 의존하게 됐지만 월리스는 최근까지도 전세계 뉴스 현장을 누벼왔다. 은퇴 발표 직후
은퇴와 함께 ‘명예 특파원’이란 직함을 얻게 된 그는 “회사 쪽에서 원하는 일이라면 ‘60분’이든 ‘저녁 뉴스’든 가리지 않고 취재하겠지만, 휴가는 좀더 길게 가질 것”이라며 웃었다. 그의 은퇴 결정으로 ‘60분’ 출연진 가운데 최고령자는 프로그램 끝 무렵에 논평을 하는 앤디 루니(87)가 됐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 대 0’ 외 다른 길 있나?
“저희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조회수…자영업 구하러 효심이 나섰다
입만 열면 ‘법치주의’ 한덕수·최상목…“직무유기죄 처벌해야”
‘헌재 비난’ 안창호 “탄핵 선고 존중” 돌변에…“사과부터 하라” 비판
‘만에 하나’ 한덕수, 대선일 공고 뭉개면? “헌재가 막을 수 있다”
김은숙 작가 “헌재, 거기 괜찮아요? ‘시그널’ 무전기로 물어보고파”
강원서도 “윤석열 파면만이 민주주의·경제회복의 시작”
“반국가세력 언론인으로 척결되겠구나, 두려웠다”…‘707에 포박’ 기자 증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