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 color="#006699"> <font size="4">A.</font> </font> 그러게 말입니다. 에서도 늦게까지 야근을 하거나 점심을 먹은 뒤 나른해질 때 사무실 어딘가에서 하품 소리가 들리면 어김없이 여기저기서 “하~암” 하는 소리가 이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저도 제 앞자리나 옆자리 동료가 하품을 하면 따라서 하품을 하곤 합니다. 왜 그럴까요?
공기나 뇌 속에 산소가 모자라면 하품을 하게 된다는 말도 있습니다. 피곤함이나 졸림의 신호로 이해되기도 하죠. 하지만 이건 과학적인 설명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산소가 풍부한 실외에서나 몹시 긴장할 때도 하품은 나오니까요. 실제로 여러 실험에서 산소의 양과 하품은 별다른 관계가 없는 것으로 증명됐다고 합니다. 하품이 왜 나오는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하지만 ‘남 따라 하품하기’는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합니다. 뇌의 신경세포 가운데 ‘거울뉴런’이라는 게 있습니다. 영화에서 등장인물이 맞거나 칼에 찔리는 장면을 보면 마치 내가 맞거나 찔린 것 같은 기분을 느낄 때가 있죠? 이렇게 어떤 행동을 보기만 해도 이 행동을 반영해 활성화되는 게 거울뉴런입니다. 거울이 실재를 반영하는 것처럼 말이죠. 하품 따라하기는 바로 이 거울뉴런 때문입니다.
거울뉴런은 모방과 공감에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몇 년 전 영국에서 공감 능력이 매우 낮은 자폐아동과 그렇지 않은 비자폐아동에게 하품하는 동영상을 보여줬더니, 자폐아동 중에선 그걸 보고 따라서 하품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는 실험 결과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이 차이는 공감 능력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다른 사례도 있습니다. 엄마가 아기에게 밥을 먹일 때 입을 벌리면 아기의 뇌는 무의식중에 이를 반영해 입을 벌리는 경우를 생각해보시면 되겠습니다. 누가 웃는 걸 보면 그 웃음이 뇌에 반영돼 저절로 웃음이 나오기도 하지요.
결국 남 따라 하품을 자주 하는 사람은 타인에게 잘 공감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게 시도 때도 없다면 민망한 일이겠죠. 남들보다 잘 발달한 거울뉴런을 자랑할 만큼 ‘뻔뻔해지기’도 쉬운 일은 아니고요. 누가 하품을 시작하면 땡땡이칠 기회로 여기고 “잠깐 바람 좀 쐬자”고 제안해보세요. 어느새 부드러워진 바람과 따뜻한 햇살을 느낄 수 있는 봄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답변은 랑가 요게슈바어의 (에코리브르 펴냄)를 참조했습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임은정 검사 “윤, 건들건들 반말…국정 문제를 가정사처럼 말해”
명태균 파일 “김건희 영부인 사주…청와대 가면 뒈져” [영상]
[단독] KBS 사장 후보자 박장범 차량압류 7번…과태료 안 내
명태균 변호인 “김영선 추천 경청한 윤 대통령 미담…공천 의혹 아니다”
‘아들 등굣길 걱정에 위장전입’ KBS 박장범, 스쿨존 속도 위반 3차례
목줄 매달고 발길질이 훈련?…동물학대 고발된 ‘어둠의 개통령’
군, 현무-Ⅱ 지대지 미사일 발사로 ‘북 미사일 발사’ 맞불
“윤, 사실상 대통령 아냐…퇴진 기본값” 현직 장학사도 시국선언
‘12명 실종’ 제주 수중탐색 언제…오늘 밤에야 사고해상 도착할 듯
참모들은 왜 윤 대통령 회견 말리지 않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