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나의 오래된 물건] 아코디언을 꿈꾸는 섬

등록 2005-07-29 00:00 수정 2020-05-03 04:24

아버지는 늘 엄격하고 근엄하셨다. 자식들에게 칭찬을 하거나 웃음을 보여준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아버지가 낭만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더더욱 상상할 수 없었다. 당신이 계실 때는 집안이 절간처럼 조용했다.
그런데 초등학교 5학년 무렵, 아버지는 내 덩치보다 더 큰 아코디언을 사오시더니 평소와 다르게 이런저런 설명을 하며 자랑을 늘어놓으셨다. 선생님을 모셔 배우고, 틈만 나면 정말 열심히 연습하셨다. 그 뒤 난 타 지방으로 진학해버렸기에 아버지가 언제 아코디언을 그만두셨는지, 어느 정도 연주 실력을 닦으셨는지 알 수 없다. 아예 아코디언의 존재조차 까마득하게 잊어버리고 있었다.

대학 시절 어느 날 레코드 판을 얹어 음악을 듣고 있는데 느닷없이, 그러나 조심스럽게 아버지가 내 방문을 열고 들어오시는 게 아닌가. 나는 깜짝 놀라 판을 내려놓으려 했는데, 아버지는 가만히 손을 가로 저으시더니 미동도 없이 그 곡이 끝날 때까지 들으시곤 말없이 방을 나가셨다. 난 완전히 얼어붙은 채 한참을 멍하니 있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 올라오는 걸 느끼면서. 처음으로 당신의 인간미를 느끼게 해준 일이 아니었을까. 그때 그 곡은 사라사테의 <치고이너바이젠>이었다. 그 뒤론 집안에 음악소리가 들려도 아버지는 침묵으로 일관하셨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수년 뒤, 낙향해 다락방을 정리하다가 낡은 트렁크 속에서 아코디언을 발견했다. 30여년 만에 햇빛을 본 악기는 때에 절고 녹슬었지만 자개는 빛을 띠고, 건반은 음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당신이 가꾸던 감나무 과수원 귀퉁이에 조그만 찻집을 차리면서 난 벽 한켠에 유일한 장식품으로 아코디언을 올려놨다. 아코디언은 오늘도 누군가의 손길을 기다린다.

광고

하병민/ 경남 함양군 함양읍 백연리 ‘꿈꾸는 섬’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