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이후에 연행이 이뤄지지 않은 마산오광대를 복원하려는 사람들
▣ 마산=사진·글 박승화 기자 eyeshot@hani.co.kr
‘오광대’라는 민속극이 있다. 동서남북과 중앙의 다섯 방위를 나타내는 다섯 광대가 나와 잡귀를 물리치고 마을의 안녕을 비는 극이다. 낙동강 서쪽에 분포돼 있으며,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통영, 고성, 가산이다. 마산오광대는 연희본은 있지만 1937년 이후 연행이 이뤄지지 않았다. 보통 통영이나 고성오광대가 다섯 과장(판소리의 마당에 해당함)인데 반해, 마산오광대는 오방신장 과장과 사자무 과장이 더해져 일곱 과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방신장무는 첫 과장으로 하늘의 춤이며, 사자무는 맨 끝 과장으로 땅의 춤이다. 하늘의 춤으로 시작해 인간(노장, 문둥이, 양반, 영노, 할미)의 춤이 이어지고 땅의 춤으로 끝난다.

광고
잊혀진 마산오광대를 복원하기 위해 지역 문화단체가 온 힘을 쏟고 있다. 마산의 선유풍물연구소(소장 이중수)는 마산오광대의 복원에 여념이 없다. 2006년 연구팀을 구성해 복원에 필요한 자료를 찾기 시작해 지금은 매주 금요일이면 모여 음악과 춤을 연습한다. 울산, 제주에서 오는 이도 있다. 2006년 한가위에 오방신장무를 복원해 공연했고, 올해는 사자무를 복원해 한가위에 공연할 계획이다.
“서두르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오방신장무와 사자무가 완성됐으니 가능하면 내년 추석엔 일곱 과장 전체를 마산 시민들 앞에서 놀아봐야죠.” ‘게으른 무수장삼 우주에 덮여 있네’라는 최제우의 를 인용하며 이중수 소장은 천천히, 하지만 굳건히 노력해나갈 의지를 밝혔다. 마산오광대를 복원하려는 노력은 1980년대부터 여러 차례 시도가 있었으나 그동안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런 만큼 이들은 조심스럽다. 어설프게 했다가는 입방아에 오르내리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광고
흔적조차 없어 복원하지 못하는 전통문화가 많다. 하지만 마산오광대는 희미한 흔적뿐만 아니라 열정까지도 이어가는 이들이 있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트럼프, ‘방위비 인상’ 포문 열다…취임 이후 첫 한미 정상 통화
“한덕수가 다시 광장으로 불러내”…내란청산 의지 타오른다
윤석열 당선무효 시 국힘 ‘400억 반환’ 파산 가능성
홍준표 “용산 대통령실은 불통·주술의 상징…다시 청와대로”
[단독] 최재해·유병호 ‘공개 말싸움’…“공직기강 잡기? 누가 누굴 감사하나”
출퇴근 기록 조작해 수당 타낸 공무원 강등 처분…검찰 수사까지
너도 가담했지? [그림판]
석유 팔아 우크라 전쟁 자금대는 러시아, 유가 폭락에 긴장
윤석열의 ‘법률 집사’ 이완규, 해소되지 않은 ‘그날’의 의혹
노무현 향해 “검찰 인사권 넘겨라”…‘검사스럽다’의 원조 이완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