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살던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 할머니가 8월4일 세상을 등졌다. 7일 낮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수요집회에 참가한 학생과 시민들이 할머니를 추모하고 있다. 올해만 5명의 피해자가 세상을 떠나, 정부 등록 240명의 ‘위안부’ 피해자 중 20명만이 생존해 있다. 전범국 일본을 ‘전쟁할 수 있는 나라’로 되돌리려는 아베 정권이 무역 도발까지 감행하며 ‘망각’이란 무기를 휘두르는 동안, 역사의 증인들은 고령으로 스러져가고 있다.
사진·글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
부산 남구 6급 공무원, 계엄 옹호 의원·국힘 비판했다 중징계 위기
케이블타이에 감긴 기자, 입 열다…계엄군 “가져와” 하더니 [영상]
4·2 재보선 최종 투표율 26.55% 잠정 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