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경찰의 물고문으로 숨진 박종철씨의 아버지 박정기씨가 추모식을 하루 앞두고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에서 아들이 숨진 욕조를 둘러보고 있다.
1987년 1월14일 서울 남영동 옛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탁’ 하고 치니 ‘억’ 하고 죽었다던 박종철씨는 그해 들불과 같은 6·10 항쟁을 불러일으켰고 철옹성과도 같았던 절대권력을 무너뜨렸다. 19년이 지난 지금, 적어도 모든 사람들이 권력에 대항했다고 어느 날 갑자기 쥐도 새도 모르게 끌려가 고문당하고 죽는다는 공포감은 느끼지 않을 만큼 민주화된 사회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생존권을 요구하며 길거리로 나온 농민이 경찰의 방패에 맞아 죽고, 국민소득 2만달러를 목전에 둔 시대에 어떤 사람들은 최소한의 생계비도 없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 가난은 계속 대물림되고 기득권은 눈곱만큼의 양보도 용납하지 않으려 한다. 박씨가 죽은 뒤 세상은 빠르게 변했지만 살아남은 자는 아직도 뭔가를 해야만 한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그 많은 수돗물 누가 훔쳤나 [그림판]
“윤석열에 꽃다발 준 입주민, 김태효 모친이었다”
서울고법, 윤석열 21일 공판도 ‘지하 출입’ 허용…특혜 논란
‘항명 혐의’ 박정훈 대령 쪽 “윤석열 증인 신청하겠다”…항소심 시작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이제 이완규 헌법재판관은 안 봐도 되나? [4월17일 뉴스뷰리핑]
‘언론은 적’…1호 당원부터 원내대표·대선 주자도, 한결같은 국힘
‘재난 추경’인데…트라우마센터·이재민 긴급복지 예산 빠져
문형배·이미선 퇴임 “대통령-국회 갈등, 헌재가 해소할 수 있어”
박정훈 대령 쪽 “한 사람 격노로 모두 범죄자 된 사건 실체 밝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