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부모님께서 저를 낳기 전, 이름을 고심하면서 딸이면 누리, 아들이면 겨레라고 지으려고 했답니다. 그런데 막상 아이를 낳고 보니 성이 전(全)씨인데 누리와 겨레가 잘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어서 ‘하나’라고 지었다네요. 하나로 조국이 통일하길 바란다는 뜻에서요. 그런데 마침 임수경씨가 “겨레(조국)는 하나다”라는 말을 해서 섬뜩한 기분마저 들었대요. 그래서 그냥 저는 ‘한겨레’입니다.” 전하나(23)씨는 이렇게 과 자신의 인연을 ‘운명’으로 결론지었다. 훗날 그의 부모님은 하나양의 돌반지를 팔아 한겨레 주주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설처럼 전해진다고.
“부모님이 두 분 다 선생님이에요. 교육 현장에서 한겨레의 좋은 자료들을 갖고 아이들을 만났으면 좋겠어요. 중·고등학교 다닐 때도 그런 선생님들을 만나길 바랐었거든요.” 그래서 그는 이 좀더 교육과 관련한 기사들을 많이 다뤄주었으면 한다. 그 역시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면서 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사실 이제껏 을 비판적으로 생각해보지 못했어요. 그런데 학교에서 언론학을 공부하고 매체비평학회 활동을 시작하면서 홍세화씨의 말을 빌려 한겨레를 ‘비판적으로 지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기자들, 긴장할 대목이다.
그는 최근에 읽은 한스 울리히 트라이헬의 소설 를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한다. 전후 독일 사회와 우리네 모습이 닮아 있어 많이 공감했다고. 아직까지 분단으로 인한 상처가 치유되지 못한 우리의 삶이 소설 속 결말 이후의 삶인 것 같단다. “통일을 이루기 전까지는 우리 모두가 이 시대의 실종자인 것 같아요. 제 이름처럼 어서 통일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역시 전하나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체포 시도’ 여인형 메모에 ‘디올백 최재영’ 있었다
[단독] 대답하라고 ‘악쓴’ 윤석열…“총 쏴서라도 끌어낼 수 있나? 어? 어?”
중국의 보복관세는 왜 하필 석유·석탄일까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달 그림자” 윤 궤변에…국힘서도 “손바닥에 ‘왕’ 써도 하늘 못 가려”
국내 첫 ‘철도 위 콤팩트시티’…남양주 다산 새도시에 건설
“급한 일 해결” 이진숙, 방송장악 재개?…MBC 등 재허가 앞둬
“경호처, 계엄 해제 뒤 노상원에 2번째 비화폰 지급…증거 인멸용”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윤석열 국정이 ‘달 그림자’였다…작년 ‘사과’ 직후 ‘계엄 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