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좋은 세상도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에
온 세계를 난장판 속에 던져버리는 것.
<밴디트>(에릭 홉스봄 지음, 이수영 옮김, 민음사 펴냄)
▣ 유현산 기자 bretolt@hani.co.kr
나는 종종 왜 사람이 사람의 피를 즐기는지 궁금했다. 그러니까 유고 내전 당시 촌부들이 아침 저녁으로 인사를 나누던 이웃을 다리 위로 끌고 가 칼로 목을 따 던져버린 이유가 알고 싶었다. 역사가 에릭 홉스봄은 몇몇 농민봉기 등에서 나타나는 억압당하는 집단들의 잔인한 행위를 분석한다. “꿈에서조차 진정한 승리의 희망을 품어보지 못하는 영원한 희생자들에게는 거칠고 무분별한 복수가 ‘파괴의 혁명’이기도 하다.” 그런데 세계의 파멸은 영원히 불가능하다. 승리는 다시 파괴의 유혹을 부르고 걷잡을 수 없는 원한과 갈등은 사회를 피의 복수로 물들인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가해자들은 영원한 피해자들일 것이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승복 주체’ 바뀐 국힘…이재명 “윤석열이 헌재 결정 승복해야”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전 서울대 총장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윤석열을?
윤석열, 장제원 사망에 “가슴 아파”…피해자 언급은 없어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헌재 길목서 ‘키세스 이불’ 덮고 밤샘…“비상식적 선고 날까봐”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