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인간>(마빈 해리스 지음, 김찬호 옮김, 민음사 펴냄)
▣ 유현산 기자 bretolt@hani.co.kr
중앙 말레이시아 세마이족은 고기를 거저 주고 받으면서 고맙다는 말을 전혀 하지 않는다. 뜨거운 사막을 뚫고 하루 종일 돼지 한 마리를 끌고 집에 온 사냥꾼은 그 고기를 똑같은 크기로 분할해 집단 전체에게 분배한다. 만약 고맙다는 말을 하면 그 사냥꾼이 얼마만큼 고기를 주었는지 계산하는 몰인정한 사람임을 뜻하게 된다. “어떤 젊은이가 고기를 많이 잡아오면 그는 자기가 추장처럼 대단한 사람인 줄로 생각해요. 그 오만이 언젠가 다른 사람을 죽일 것입니다.” 이 원주민의 설명은 ‘야만적’인가.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이 쓰는 ‘고맙다’라는 단어에 대해 다른 맥락에서 생각해보자. 그렇다고 ‘감사 인사 하지 말기 운동’을 펼치자는 뜻은 아니다. 다만, 인간 사회에서 권력은, 최초에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외신도 ‘윤석열 구속기소’ 긴급 보도…“한국 최악 정치 위기 촉발”
‘윤석열 친구’ 선관위 사무총장도 ‘부정 선거론’ 반박했다
“새해 벌 많이 받으세요”…국힘 외면하는 설 민심
내란의 밤, 불난 120·112…시민들 “전기 끊나” “피난 가야 하나”
“탄핵 어묵 먹고 가세요” 무너진 법치, 밥심으로 일으킨다
명절로 자리잡은 지 40년 안 된 ‘설날’…일제·독재에 맞선 수난 역사
윤석열 재판 최대 쟁점은 ‘그날의 지시’…수사 적법성도 다툴 듯
전도사 “빨갱이 잡으러 법원 침투”…‘전광훈 영향’ 광폭 수사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
이재명 vs 국힘 대선주자 초박빙…박근혜 탄핵 때와 다른 판세,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