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인간>(마빈 해리스 지음, 김찬호 옮김, 민음사 펴냄)
▣ 유현산 기자 bretolt@hani.co.kr
중앙 말레이시아 세마이족은 고기를 거저 주고 받으면서 고맙다는 말을 전혀 하지 않는다. 뜨거운 사막을 뚫고 하루 종일 돼지 한 마리를 끌고 집에 온 사냥꾼은 그 고기를 똑같은 크기로 분할해 집단 전체에게 분배한다. 만약 고맙다는 말을 하면 그 사냥꾼이 얼마만큼 고기를 주었는지 계산하는 몰인정한 사람임을 뜻하게 된다. “어떤 젊은이가 고기를 많이 잡아오면 그는 자기가 추장처럼 대단한 사람인 줄로 생각해요. 그 오만이 언젠가 다른 사람을 죽일 것입니다.” 이 원주민의 설명은 ‘야만적’인가.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이 쓰는 ‘고맙다’라는 단어에 대해 다른 맥락에서 생각해보자. 그렇다고 ‘감사 인사 하지 말기 운동’을 펼치자는 뜻은 아니다. 다만, 인간 사회에서 권력은, 최초에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에 꽃다발 준 입주민, 김태효 모친이었다”
이준석 “국힘, 윤석열 전화 안 받기 시작…배신감에 길길이 뛰고 있을 것”
문형배·이미선 퇴임 “대통령-국회 갈등, 헌재가 해소할 수 있어”
‘항명 혐의’ 박정훈 대령 쪽 “윤석열 증인 신청하겠다”…항소심 시작
[속보] 정부, 12조2천억 추경안 발표…22일 국회 제출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한덕수 지지율 7%, 홍준표·김문수와 나란히…이재명 38% [갤럽]
이제 이완규 헌법재판관은 안 봐도 되나? [4월17일 뉴스뷰리핑]
정부 항소 포기…‘887억’ 삼성 합병에 손해 본 메이슨에 배상
‘급식중단’ 대전 학생의 소신 발언 “부끄러운 건 파업 아닌 우리의 조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