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될 놈만 밀자’는 가족 철학을 삶아낸 코믹극 <역전의 명수>
▣ 김은형 기자/ 한겨레 문화생활부 dmsgud@hani.co.kr
<역전의 명수>는 말 그대로 역 앞에 사는 명수의 이야기다. 명수에게는 1분27초 늦게 태어나 ‘억울하게’ 동생이 된 현수가 있다. 이 영화의 설정은 <우리 형>의 반대 버전, 즉 <우리 동생>쯤이 된다. <역전의 명수>에서는 ‘우리 형’이 아니라 ‘우리 동생’이 집안의 꿈과 희망이다. 명수는 허구한 날 싸움질만 일삼다가 중학교 때 학교에서 잘리고 엄마가 하는 국밥집 배달이나 하는 신세지만, 현수는 서울 법대를 수석으로 입학한 인재 중의 인재다.
광고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는 속담의 새빨간 거짓이 이 영화에서는 <우리 형>보다 강도 높게 드러난다. <우리 형>에서는 고작 형의 도시락 반찬에 계란 하나 더 올려주고 브랜드 옷 한벌로 형제간 서열을 드러냈지만, 명수는 그야말로 현수의 ‘시다바리’다. 쌍둥이라는 점을 이용해 명수는 현수의 여자친구 정리부터 현수 대신 군대 가기, 심지어 현수 대신 ‘혼빙간’이라는 너저분한 죄목을 뒤집어쓰고 감옥에 대신 가기까지 한다.
<역전의 명수>는 쌍둥이지만 성격도 사회적 위치도 천양지차인 형제의 신세가 뒤바뀌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린 영화다. 성매매 여성을 영화 속 멜로의 구성요소로 손쉽게 가져오는 아슬아슬함과 중반까지 대책 없이 날뛰는 에피소드, 안정된 연기력이 가릴 정도로 다듬어지지 못한 여성 캐릭터 등 거슬리는 부분이 적지 않지만 가족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통렬한 구석이 있다. 일단 엄마를 보자. 폼나는 데는 현수를, 궂은 일에는 명수를 배치하는 데 이 엄마, 자신의 가족 운영 방식에 조금의 갈등도 없다. 물론 마음속에 명수에 대한 연민이 없는 건 아니지만 군대에 대신 가는데도, 감옥에 대신 가는데도 엄마의 ‘적극적인 권유’가 결정적 역할을 한다. 다 우리 가족 잘되기 위해서라는데 누가 뭐라고 하겠나. 정준호가 1인2역으로 연기하는 현수 역시 명수가 자신을 위해 희생하는 데 조금의 미안함이 없다. 어차피 ‘찌질하게’ 굴러가는 명수의 인생, 군대에 가서 밥값이라도 덜고, 그동안 자신은 고시 공부를 열심히 해서 1년이라도 빨리 고시에 합격하는 게 합리적인 선택이 아닌가.
잘난 인간 하나를 위해- 여기서 잘났다는 건 순전히 공부를 잘하고 돈을 잘 벌고 출세한다는 의미다- 못난 인간들이 희생하는 게 마땅하다는 논리는 사실 우리 사회를 이끌어온 상식이다. 아들 대학 보내기 위해 딸내미는 초등학교 졸업신킨 뒤 버스 차장을 시키거나 공장에 보내는 것을 당연한 가족간의 도리로 여기면서 일사분란하게 살아온 이들에게 될 놈 밀어주고 안 될 놈 깔아주기라는 철칙은 조금도 이상할 게 없는 것이다. <역전의 명수>는 이처럼 가족을 위해, 사회를 위해라는 그럴듯한 명분으로 ‘하찮은’ 개인의 희생을 당연시해온 관습과 상식을 극단적으로 밀어붙여 웃음을 자아낸다. 결코 유쾌하지만은 않은 웃음이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이재명, ‘행정수도론’ 재점화…대선 주요 이슈 되나
3표 모자라…‘내란·명태균 특검법’ 끝내 폐기
‘윤어게인 신당’ 창당 취소…변호인단 “국힘 압박 빗발쳐”
내란 내내 헌재 문 두드린 김정환 변호사 “포고령 딱 보니 위헌”
그 많은 수돗물 누가 훔쳤나 [그림판]
문형배 재판관이 직접 밝힌 윤석열 탄핵선고가 늦어진 까닭
캐나다 총리 “국내에 자동차 공장 두면 미국산 차 수입시 무관세”
‘급식중단’ 대전 학생의 소신 발언 “부끄러운 건 파업 아닌 우리의 조롱”
돈벌이에 동원된 ‘윤석열 탄핵 결정문’ [.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