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격변기 문호들을 찾아 떠나다

전세계 문학 현장을 25년 누빈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의 새 연재 매주 만나는 세계 문학의 절정 “자유, 평화, 인도주의”
등록 2016-02-05 21:54 수정 2020-05-03 04:28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오래된 질문을 이 다시 묻는다. 야차 같은 정권의 그늘 아래 한반도 남쪽 민주주의는 갈수록 창백해지고 있다. 농민은 병실에 누워 있고, 노동자는 붉은 띠 두르고 하늘에 오른다.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이라는 말이 넘쳐난다.
그런데도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세상살이의 태반은 말글살이다. 사람들은 비정한 비언어의 세계에서 언어로 소통하고 언어로 환호하며 언어로 절규한다. 언어 없는 인간세를 상상할 수 없듯이, 언어의 힘을 불신하는 문학은 존재할 수 없다. 문학이 ‘겨울공화국’의 혹한을 견디고 봄날을 꿈꾸며 삶의 근육을 다지는 데 조금이라도 이바지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문학비평가 임헌영(75·사진)의 세계문학기행 연재를 이번호부터 싣는 까닭이다.
연재는 일본의 두 형제 이야기로 시작해, 유일한 한국인 이미륵에서 마침표를 찍을 참이다. 전쟁과 역사, 민중의 저항, 침략과 제국주의 반대를 열쇳말 삼아 세계문학의 ‘절정’이 차례로 소개된다. 작품의 현장을 두루 돌아본 저자의 안내에 따라 독자들 또한 시대를 읽고 자신을 해석하며 타인과 공존하는 길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재는 매주 이어진다. _편집자


류우종 기자

류우종 기자

문학과 역사의 접점을 찾아보려는 시도가 나의 ‘세계 인문학 기행’ 출발 동기였다. 문학인뿐이 아니라 헤겔, 니체, 마르크스, 프로이트, 베토벤, 차이콥스키, 쇼팽, 시벨리우스, 고흐, 세잔, 뭉크, 워싱턴, 마오쩌둥 등등 모든 분야 인물들의 생가, 묘지, 작품 무대와 보로지노, 워털루, 노르망디, 벙커힐, 포트맥헨리 등 역사를 바꾼 격전지를 찾아다닌 지가 25년이 흘렀다. 왜 그토록 헤매고 다녔던가.

문학-역사의 접점을 찾아

“우리네 인생길 중반 고비에서/ 올바른 길을 잃어버리고서/ 눈을 떠보니 어두운 숲 속에 처해 있었다.”(단테, ‘지옥편’ 서두)

단테가 피렌체에서 추방당한 건 37살 때였다. 유신독재 2년차인 1974년 겨울, 34살이던 나도 어두운 숲 속에 처해 있었다. 그해 이후 내 인생 행로는 17년간 아예 해외 나들이를 단념토록 되어 있었기에 여권을 다시 마련한 건 1991년이었다.

그 잃어버린 세월을 메꾸려고 유별나게 해외여행을 밝혔다. 밥벌이 때문에 아무리 용을 써봤자 1년에 1~2회가 고작이라 아직도 못 가본 곳이 더 많다. 더구나 외국문학을 전공하지 않았기에 인식과 견문에 한계를 통감하면서도 호기심을 멈출 수가 없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실컷 다니다가 언젠가는 세계 인문학 기행을 나라별로 쓰리라 작정했는데, 을 만나 우선 그 뚜껑을 열게 되었다. 되도록 유명한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된 작가 위주로 선택했다. 비문학인들은 일단 제외했다.

빅토르 위고는 나폴레옹 3세의 독재에 항거, 19년간이나 추방당했고(그는 사면을 받고도 끝까지 귀국을 거부, 독재자가 쫓겨난 뒤에야 파리로 돌아갔다), 프리드리히 실러는 군에서 탈영하여 오랫동안 가난한 유랑에 시달렸으며, 헤르만 헤세는 반전평화 사상으로 모국을 버렸고, 토마스 만은 나치를 반대하여 망명길에 오른 후 전쟁이 끝나도 분단된 모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스위스에서 살았다.

현지의 노련한 가이드조차 처음 가는 곳이라 관광지 목록에 없는 길 찾기가 늘 수월치 않았다. 한국인으로는 처음 찾아왔다는 곳도 적잖았다. 프랑스에서는 앙드레 지드의 묘지를 찾아 2시간이나 헤매다가 허탕 치기도 했다. 그 방황에서 얻은 건 우리들이 헤맸던 마을에서는 지드를 아는 분이 없었다는 사실이다. 아, 문학이란 보통 사람들에게는 아득히 멀리 있구나.

“어디서든지, 그대의 도시로부터, 그대의 가정으로부터, 그대의 방으로부터, 그대의 사상으로부터 탈출하라”(앙드레 지드, 서문)는, 여행사 선전에도 걸맞은 멋진 말을 한 앙드레 지드를 모국에서, 그것도 묘지가 있는 마을 부근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니!

맞다. 여행은 아무리 미화해도 탈출의 형식을 취한다. 그래서 복마전 같은 현실을 떠나면 어디든 천국같이 느껴진다. 그만큼 여로에 놓인 ‘나’는 그 나라 현실의 속이 아니라 환상의 겉을 보기 쉽다. 서울 고궁 수문장 교대식을 관람하는 외국인들의 시선에 한국은 얼마나 풍요롭고 평화롭게 보일까. 그들에게 우리의 이 고통, 식민지, 분단, 독재, 이에 맞선 긴 민주화 투쟁은 어떻게 비쳤을까. 그러고도 세월호 참사와 역사 교과서 국정화, 일본군 성노예의 부당한 협상 등등으로 추위에 손가락 불어가며 외치는 함성이 이방인들에게는 얼마나 절절하게 들릴까. 우리도 남의 나라에서 그랬을까 두렵다.

국경과 인종과 이념과 신앙의 경계선을 허무는 것이 인문학 기행이다. 적어도 이번 연재에서 다루는 문학인들은 자유와 평화와 인도주의의 정신에 투철하기에 어느 나라에서나 환영받을 것이다.

지드를 모르는 프랑스 마을

이 연재는 학문적인 탐구나 문학적인 분석 평가가 아니다. 역사적 격변에 직면한 문호들이 그 위기에 어떻게 대응했던가를 삽화처럼 펼쳐보고 싶었다. 작가의 전 생애를 다 훑어보기에는 지면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사건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는 형식을 취한다. 부득이한 경우를 빼고는 인용문의 출처를 생략한다. 모든 항목마다 여기 실리는 글의 몇 갑절이나 더 긴 내용을 지면에 맞춰 축약했다.

총 16회인 이 연재는 ‘전쟁과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란 주제로 도쿠토미 형제, 위고, 톨스토이, 괴테, 스탕달을 순례한다. 이어 민중저항운동으로 실러, 횔덜린, 푸시킨을 살피고, 근대 반침략 반제국주의 사상을 바이런, 헤세, 펄 벅, 이미륵에서 찾아보기로 한다.





연재 순서


① 일본의 윤동주 도쿠토미 로카
② 일본의 괴벨스 도쿠토미 소호
③ 프랑스혁명과 위고
④ 워털루 전투와
⑤ 보로지노의 톨스토이
⑥ 야스나야폴랴나, 평화사상의 요람
⑦ 나폴레옹과 괴테
⑧ 청춘의 도시 베츨라어
⑨ 의 현장
⑩ 의 화살
⑪ 네카어 강변의 고독한 혁명시인
⑫ 데카브리스트와 푸시킨
⑬ 시옹 성에서 미솔롱기까지
⑭ 칼브의 평화사상
⑮ 루산(廬山) 펄 벅 별장
⑯ 뮌헨의 고독



*지면 연재 순서에 맞춰 링크가 업데이트됩니다.


임헌영 문학비평가·민족문제연구소 소장

※카카오톡에서 을 선물하세요 :) ▶ 바로가기 (모바일에서만 가능합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