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정동 하비브하우스가 한옥으로 남은 이유

등록 2013-01-19 20:30 수정 2020-05-03 04:27
미국대사관 관저 하비브하우스. 1972년 옛 대사관저가 붕괴 위험에 직면하자 미국 정부는 역대 미국 대사들의 100년 동안의 숙원이던 ‘서양식 건물’을 새로 지어주겠다고 했으나, 1971년 주한 미국 대사로 부임한 필립 하비브는 ‘한옥 양식’을 고집했다. 그것이 한옥을 사랑한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한국에서 펼쳐진 미국의 ‘역사’를 사랑한 때문이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 이 건물은 미국의 재외 대사관저 중 주재국의 전통 양식을 취한 유일한 건물로 알려져 있다. 전우용 제공

미국대사관 관저 하비브하우스. 1972년 옛 대사관저가 붕괴 위험에 직면하자 미국 정부는 역대 미국 대사들의 100년 동안의 숙원이던 ‘서양식 건물’을 새로 지어주겠다고 했으나, 1971년 주한 미국 대사로 부임한 필립 하비브는 ‘한옥 양식’을 고집했다. 그것이 한옥을 사랑한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한국에서 펼쳐진 미국의 ‘역사’를 사랑한 때문이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 이 건물은 미국의 재외 대사관저 중 주재국의 전통 양식을 취한 유일한 건물로 알려져 있다. 전우용 제공

조선 왕조가 한양에 전도(奠都)한 지 2년 뒤, 태조 이성계의 부인 현비 강씨가 죽었다. 남녀가 서로 사랑하는 것이야 생명체의 본능에 속하지만, 연애결혼이 일반화하기 전에는 사랑이 부부 사이에 자리잡는 일이 흔치 않았다. 결혼은 가문과 가문의 정략적 결합이었고, 이성계와 강씨의 결합 역시 이 중세적 일반성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런데 둘은 아주 운이 좋은 부부였다. 이성계와 강씨는 부부이며 연인이자 동지였다. 강씨가 죽자 62살의 이성계는 ‘통곡하고 슬퍼하기를 마지아니했고, 조회와 저자를 10일간 정지했다’.

 

서울 중구 정동과 성북구 정릉동 유래

강씨의 능호(陵號)는 정릉(貞陵)으로, 능침(陵寢)은 성벽 안, 서대문과 서소문 사이로 정해졌다. 도성 안에는 능을 둘 수 없다는 원칙을 무시한 처사였다. 이성계가 중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강씨의 능을 도성 안에 마련한 것은, 그의 혼령이라도 가까운 곳에 두고 싶어 했기 때문이라고 전한다. 그 일대가 지금의 서울 중구 정동(貞洞)이다.

강씨와 정적 관계였던 태종 이방원은 그 소생의 이복동생들을 죽였을 뿐 아니라 죽은 계모조차 가만두지 않았다. 이성계가 죽자마자 이방원은 강씨의 능을 북쪽 성 밖, 지금의 성북구 정릉동으로 옮겼다. 정동과 정릉동 모두 신덕왕후 강씨의 능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능역에 남아 있던 석물들은 광교 초석으로 삼아 뭇 백성들이 밟고 다니게 했다. 이 처사에 대한 비난을 의식했음인지, 후일 그는 대신들에게 “정릉이 나의 계모가 되는가?”라고 물었다. 이 질문의 속뜻을 바로 짚어낼 눈치가 없는 사람이 출세하는 경우는 고금에 없었다. 좌의정 류정현은 “그때(이성계가 강씨를 처로 맞았을 때)에 신의왕후(이방원의 생모)가 승하하지 않았으니, 어찌 계모라 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답했다. 이방원이 원하던 대답이었다. 그는 “정릉은 내게 조금도 은의(恩義)가 없었다”며 자기 행위를 정당화했다. 하지만 그가 죽은 계모를 조금의 은의도 없이 대했던 일은 두고두고 백성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정릉이 옮겨간 뒤, 그 자리는 주택지가 되었다. 후일 세조는 아들 의경세자(덕종으로 추존)가 죽자, 이곳에 며느리와 두 손자가 함께 살 집을 마련해주었다. 예종이 죽은 뒤 의경세자의 작은아들 잘산군이 형 월산대군을 제치고 왕위를 계승했으니, 그가 성종이다. 형에게 미안한 마음이 있던 성종은 이 집을 장안에서 제일 큰 집으로 넓혀주었다. 그로부터 100년쯤 지나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의주로 피란했던 선조가 서울로 돌아왔을 때, 궁궐은 모두 불타버린 상태였다. 그는 부득이 장안에서 제일 큰 이 집을 15년간 행궁으로 쓰며 여러 건물을 새로 짓고 경계도 넓혔다. 이 행궁에서 즉위한 광해군은 3년간 더 머물다가 창덕궁 중건 공역이 끝나자 그리로 옮기며 행궁에 경운궁(慶運宮)이라는 궁호를 붙였다. 그 얼마 뒤 인목대비가 경운궁에 유폐되었고, 인조반정 때는 인조가 이곳에 와서 인목대비에게 즉위를 인정받는 의식을 치렀다. 그 뒤 경운궁은 이름만 궁인 채로 퇴락해갔고, 궁역에 편입된 땅도 원주인에게 되돌아갔다. 세월이 흐르는 동안 궁역은 경계조차 불명확해졌다.

 

앨런 “초라해 불만, 돈 안 쓴 건 잘할 일”

조선 정부가 루셔스 하우드 푸트에게 알선한 집은 경운궁 서쪽에 바로 붙은 민계호와 민영교의 집이었다. 민계호의 집은 건물 125간, 공대(空垈) 300간, 민영교의 집은 건물 140간, 공대 150간으로 둘 모두 당당한 저택이었다. 푸트는 이 집들을 2200달러에 구입했고, 주변 집도 몇 채 더 사들였다. 그가 이렇게 넓은 집을 만든 것은 묄렌도르프의 저택을 의식한 때문이었을 것이다. 집을 구한 푸트는 본국 정부에 미국식 건물을 지을 돈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하필이면 ‘모자가 천장에 닿는다’는 이유를 댔다. 국무장관은 ‘조선에서는 실내에서 모자를 쓰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답신했다. 조선에 대한 관심이 식었다는 의미였을 것이다. 푸트는 ‘쓸 만한’ 건물들을 조금 수리해서 그대로 쓰는 수밖에 없었다. 큰 건물 한 채는 공사관이 되었고, 다른 한 채는 공사관저가 되었다.

이듬해 미국 정부가 주조선 공사의 지위를 전권공사에서 변리공사 겸 총영사로 강등시키자 푸트는 이에 반발해 사직하고 귀국했다. 1887년 미국 정부는 집값과 수리비로 푸트에게 4400달러를 지급했다. 푸트의 뒤를 이어 조지 클레이턴 포크, 휴 A. 딘스모어, 오거스틴 허드 주니어, 존 M. B. 실이 이 집에서 공사 업무를 수행했다. 영국·러시아·프랑스 등 열강이 잇달아 유럽식 공관을 짓는 동안에도 미국 공사관과 관저는 한옥 건물을 그대로 유지했다. 선교사로 서울에 왔다가 미국 공사가 된 호러스 뉴턴 앨런은 을사늑약 이후 ‘미국 공사관이 다른 나라 공사관에 비해 초라한 것이 불만이었으나 결과적으로 건물에 돈을 쓰지 않은 것은 잘한 일’이라고 술회했다.

 

가장 오랜 역사와 풍부한 스토리의 건물

을사늑약 이후 미국공사관은 영사관이 되어 1940년까지 미국인들과 미국에 유학하려는 조선인들을 지원했다. 1940년 미국을 상대로 전쟁을 도발한 일본은 조선 내 미국인들을 다 쫓아내고 이 집을 압수했다. 해방 뒤 이 집은 다시 미국 총영사관이 되었다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뒤 대사관이 되었는데, 1952년 을지로에 새 미국대사관이 준공된 뒤로는 대사관저로만 사용했다. 이후 역대 미국 대사들은 한국인들도 불편하다고 헐어버리는 한옥 건물을 수시로 개·보수해가며 꿋꿋이 버텼다.

1972년, 관저 건물이 붕괴될 조짐이 나타났다. 당시 미국 대사 필립 찰스 하비브는 끝까지 건물을 살려보려 했으나 이미 대들보가 더는 버틸 수 없는 지경이었다. 하비브는 새 관저도 한옥 양식으로 짓기로 결정했다. 1976년, 목재는 미국산 더글러스소나무를 쓰고 외관은 한옥, 내부는 양식으로 한 절충형 한옥 대사관저가 완공되었다. 하비브하우스 경내에는 공사관으로 썼던 한옥도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친 상태로나마 남아 있는데, 이 건물은 미국 재외 공관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관저 경내에는 원래부터 그 자리에 있던 것인지는 단정할 수 없으나 옛 정릉의 석물도 남아 있다. 지금 서울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풍부한 스토리를 간직한 건물은, 한국인의 것이 아니라 미국 정부의 것이다

역사학자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