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사절단 ‘보빙사’가 부른 ‘미 감리교 선교 척후대’

등록 2013-02-01 07:49 수정 2020-05-02 19:27

서울에 상주 공관을 마련한 미국 정부는 조선 정부도 상응하는 조처를 취하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외국에 상주 대표를 파견한 적이 없던 조선 정부에는 이 기대가 오히려 의아한 일이었다. 일본이 서울에 공사관, 각 개항장에 영사관을 설치한 뒤에도 조선 정부는 일본에 상주 공관을 설치하지 않았다. 루셔스 하우드 푸트에게 여러 차례 독촉을 받고 나서야, 조선 정부는 미국에 사절단을 보내기로 결정했다. 사절단의 이름은 ‘먼저 방문해주신 데 감사드리는 사절’이라는 뜻의 ‘보빙사’(報聘使)였다.

보빙사 일행. 미국으로 출발하기 직전 일본에서 찍은 사진으로 추정된다. 앞줄 앉은 이 왼쪽부터 퍼시벌 로웰, 홍영식, 민영익, 서광범, 우리탕, 뒷줄 선 이는 왼쪽부터 현흥택, 미야오카(일본인 통역), 유길준, 최경석, 고영철, 변수. 조선의 보빙사는 당시 미국 정계에는 한갓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남겼을 뿐이지만, 미국 개신교계에는 조선 선교 붐을 일으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전우용 제공

보빙사 일행. 미국으로 출발하기 직전 일본에서 찍은 사진으로 추정된다. 앞줄 앉은 이 왼쪽부터 퍼시벌 로웰, 홍영식, 민영익, 서광범, 우리탕, 뒷줄 선 이는 왼쪽부터 현흥택, 미야오카(일본인 통역), 유길준, 최경석, 고영철, 변수. 조선의 보빙사는 당시 미국 정계에는 한갓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남겼을 뿐이지만, 미국 개신교계에는 조선 선교 붐을 일으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전우용 제공

최초로 어진과 서울 경관 촬영한 로웰

전권대신(全權大臣)은 왕후의 인척이자 국왕의 총신(寵臣)인 24살의 민영익이었고, 부대신(副大臣)은 그보다 5살 많은 홍영식, 종사관은 1살 많은 서광범이었다. 이 밖에 수원(隨員)으로 유길준, 고영철, 변수, 현흥덕, 최경석 등이 동행했다. 약관의 젊은이들로만 구성된 사절단이었다. 묄렌도르프가 해관을 설치하려고 불러들인 청국인 우리탕(吳禮堂)이 통역으로 합류했다. 1883년 7월 인천을 출발한 일행은 기항지 일본에서 주일 미국 공사의 소개로 미국인 안내자를 구했다. 하버드대학을 졸업하고 일본에 와 있던 퍼시벌 로웰(1855∼1916)이었다. 후일 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에 로웰천문대를 세우고 명왕성의 위치를 최초로 예측한 바로 그 로웰인데, 명왕성의 천문 기호는 그의 이름을 딴 PL로 정해졌다. 통역 임무를 마치고 고국에 남았던 그는 귀국한 보빙사의 주청에 따라 국빈 자격으로 조선을 방문해 3개월간 머물며 최초로 어진(御眞)을 촬영했고, 서울의 몇몇 지점을 카메라에 담았다. 1885년에는 조선 체류 기간 중 견문한 것들을 정리해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라는 책을 출간했다. 그가 ‘최초’로 존재를 예측한 명왕성은 2006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행성 지위를 박탈당했으나, 그가 남긴 고종의 어진과 서울 경관 사진이 ‘최초’의 지위를 잃을 가능성은 없다.

보빙사 일행은 고종과 서울에 관한 최초의 사진 기록자를 얻었을 뿐 아니라, 개신교의 한국 전래도 인도했다. 한 달이 넘는 긴 항해 끝에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그들은 대륙 횡단 열차로 갈아타고 워싱턴으로 향했다. 아메리카 원주민을 닮은 외모에 통이 좁고 속이 비치는 이상한 모자를 쓴 그들은 다른 승객들의 구경거리가 될 수밖에 없었다. 기차 안에서 보낸 일주일 내내, 미국인들의 호기심 어린 눈길이 그들 주위를 떠나지 않았다. 그중에는 미국 감리교의 거물급 목사 존 가우처(1845∼1922)도 있었다. 가우처는 민영익 일행과 대화를 시도했다. 한국어·중국어·영어가 뒤섞인 이 대화를 통해, 그는 미국이 조선이라는 나라와 새로 수교했고 ‘놀랍게도’ 조선에는 아직 개신교도가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 이 불쌍하고 미개한 사람들을 그대로 둬서는 안 되겠다는 독실한 기독교도다운 선의가 타올랐다. 때는 마침 미국 기독교 대각성운동(the Great Awakening)의 마지막 국면이었다.

가우처는 주변 사람들을 설득해 2천달러의 조선 선교기금을 확보했고, 미국 감리교 기관지 편집자를 움직여 조선 선교의 당위성을 설파하는 연재 기사를 싣게 했다. 뉴욕의 감리교 선교부에는 즉각 조선 선교를 개시하라고 요청하는 서한을, 일본에 있는 감리교 선교사 로버트 매클레이(1824∼1907)에게는 조선 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해달라는 서한을 각각 발송했다.

김옥균과 윤치호의 영어 선생 달랐을까?

마침 매클레이는 미국인으로서는 드문, 어쩌면 당시로는 유일한 ‘조선통’이었다. 그는 중국 선교사로 있던 1840년대 말에 조선인 난파선 선원들을 통해 조선을 처음 알았다. 조선을 중국의 일부로 잘못 알고 있는 서양인이 많던 시점에, 그는 양자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인지했다. 신미양요 이듬해인 1872년, 잠시 뉴욕에 머물던 매클레이는 ‘조선 원정대’의 귀환 소식을 접하고 미국 감리교회에 조선 선교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일본 요코하마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1882년에는 그의 부인이 조선에서 온 조사시찰단 단원 몇 명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이때 김옥균이 사의(謝意)를 표하려고 이 부부를 찾아왔다고 한다.

그런데 매클레이 부인이 요코하마에서 조선인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는 사실은 국내 자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조사시찰단원으로 요코하마에서 영어를 배운 것으로 확인되는 사람은 윤치호인데, 그가 후일 자신의 영어 학습 경위에 대해 밝힌 바는 매클레이의 증언과는 사뭇 다르다. 그는 처음 제국대학 영어교사 어니스트 페넬로사의 부인한테서 알파벳 등 기초만 배우고 그만두었다가 나중에 동남제도개척사로 일본에 온 김옥균의 권유에 따라 요코하마 주재 네덜란드 영사관 서기관 레온 폴데르를 찾아가 본격적으로 영어를 배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본에 산 지 16년 된 폴데르의 ‘미국인’ 아내와 대화한 내용을 소개했다.

같은 요코하마에서 ‘조선인 학생들’이 서로 다른 교사를 구해서 영어를 배웠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하지만 윤치호가 영어 교사를 구하는 데 애먹었다고 밝힌 점, 윤치호의 증언과 매클레이의 증언 모두에 김옥균이 등장하는 점으로 보아서는 그 가능성이 높다고 하기도 어렵다. 이 의문을 풀어줄 열쇠는 어쩌면 매클레이 부인에게 조선인 학생들의 영어 교사가 돼달라고 부탁한 ‘일본인 개종자’가 쥐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다. 그가 ‘조선인 학생’들에게 영어 교사의 ‘진정한 신분’을 숨긴 것은 아니었을까? 아직은 이 의문에 답할 수 없다. 어쨌거나 매클레이는 1884년 6월 조선에 오면서 ‘조선인 양반 통역’, 그것도 반(反)개화파인 사람을 대동했다. 이 조선인 통역이 윤치호가 아님은 분명하지만 아직은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청하지는 않았으나 본디 바라던 바

얘기가 잠시 빗나갔지만, 1884년 초 가우처의 편지를 받은 매클레이는 미국 감리교 선교본부의 의향을 타진했다. 미국 선교본부로서야 ‘불감청(不敢請)이언정 고소원(固所願)’이던 터라, 하고 싶은 대로 하라고 승인했다. 그는 다시 주일 미국 공사 존 빙엄과 주조선 공사 푸트에게 편지를 보냈다. 둘 다 긍정적 답변을 보내왔다. 1884년 6월8일 매클레이 부부와 ‘조선인 통역’, 아마도 중국인이었을 요리사의 4명으로 구성된 ‘미국 감리교 조선 선교 척후대’ 일행은 요코하마에서 영국 기선 테헤란호에 올랐다.

역사학자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