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2_통계뒤집기
앞으로 출산율이 올라가도 신생아 수는 줄어든다. 출산할 수 있는 가임여성(만 15~49살) 수가 크게 감소한 탓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펴낸 ‘우리나라 인구문제 현황과 정책’ 보고서와 통계청 자료를 보면, 여성 1명 이 평생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이 2010년 1.23명에서 2040년 1.42명으로 약간 올 라간다. 하지만 가임여성 수는 뚝 떨어져 결국 출생아 수는 47만 명에서 32만5천 명으로 30%나 쪼그라든다. 1962년부터 정부가 시행한 인구억제 정책이 ‘부메랑’으로 돌아온 것이다. 이승욱 서울대 교수는 “생산 가능 인 구는 계속 줄고 부양 대상 인구는 계속 늘어나는 인구구조의 불균형이 더욱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말 답이 없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당 초선 72명 내란 음모죄 고발”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영상] ‘도대체 언제까지’…광장 시민, 탄핵 지연 헌재 향한 ‘불안한 분노’
프로야구 NC-LG 창원 경기 중 구조물 추락…관중 3명 부상
냉장고-벽 사이에 82세 어르신 주검…“얼마나 뜨거우셨으면”
[단독] ‘내란’ 김용현, 군인연금 월 540만원 받고 있다
최상목, 2억 상당 ‘미 국채’ 매수…야당 “환율방어 사령관이 제정신이냐”
민주, 윤석열 탄핵 선고 촉구…“지연된 정의는 정의 아냐”
4월 탄핵 선고 3가지 시나리오…윤석열 파면·복귀, 아니면 헌재 불능
한국도 못 만든 첫 조기경보기 공개한 북한…제 구실은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