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자민(가명·남자)은 작은아들이 다니는 고등학교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다. 언젠가 아들은 아빠에게 학교에 오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 “친구들한테 엄마는 외국인이지만 아빠는 한국 사람이라고 했대요. 그래서 학교에 오지 말라고….” 16살 아이의 마음속에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아들의 담임선생님이 종종 벤자민에게 전화를 걸어 아이가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알려준다. “적응을 잘 못하는 것 같다고 해요. 시험 성적도 안 좋다고 하고.”
8살 제제 국적란에 ‘stateless’아빠는 일생 동안 국적이란 걸 가져본 적이 없다. 태어나고 자란 나라에서 시민권을 주지 않았다. 고향을 떠나 제3국을 떠돌다, 2000년대 초반 한국으로 들어왔다. 한국에서 난민으로 인정을 받자마자, 타국에 있던 아들 둘을 한국에 데려오려 했다. 그러나 무국적 부자에겐 혈연관계를 입증해줄 서류가 없었다. 유전자 검사까지 한 뒤에야 아이들은 한국으로 향할 수 있었다. 그게 벌써 7년 전 일이다.
아빠는 두 아들이 어린 편이라 낯선 생활에 금방 적응하리라 여겼다. 그런데 처음엔 학교가 아들을 받아주지 않았다. 무슨 문제라도 생기면 누가 책임지냐는 주장이었다. 두 달가량 실랑이를 벌인 뒤, 아이는 첫 등교를 할 수 있었다. 한숨 돌리는가 싶었더니, 이번엔 아이가 문제였다. 아들은 한국어를 전혀 할 줄 몰랐다. 수업 내용을 좇아가기엔 역부족이었다. 더구나 아이는 한국 사회에서 흔치 않은 무슬림이었다. 학교 급식에서 돼지고기라도 나올라치면 입에 대지 않았다. 말도 통하지 않는 낯선 학교에서 아이는 점점 고립됐다. 결국 아이는 중학교 진학을 포기했다. 탈학교 청소년이 된 셈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 학생 예비학교를 운영한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다문화’란 부모 중 한 명은 한국인인 가정을 말한다. 벤자민네 같은 난민 가정은 ‘다문화’에 포함되지 않는다.
벤자민네 아이들처럼 외국에서 태어나 성장하다가 한국으로 이주하는 경우,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은 ‘언어 소통’이다. 언어와 문화가 통하지 않으니 정서적 고립감을 느끼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 계속 살아가려면, 아이가 성인이 되기 전에 공부를 더 해야 할 텐데….” 아빠의 시름은 깊어진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 학생 등 중도 입국 자녀가 정규학교에 배치되기 전에 적응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예비학교를 운영한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다문화’란 부모 중 한 명은 한국인인 가정을 말한다. 벤자민네 같은 난민 가정은 ‘다문화’에 포함되지 않는다.
여덟 살 제제(가명)의 외국인등록증 국적란엔 ‘stateless’란 단어가 쓰여 있다. 무국적자란 뜻이다. 그런데 두 살 터울 동생 마크(가명)의 국적은 아빠와 같은 콩고민주공화국이다. 엄마 미아(가명)도 어떻게 된 일인지 영문을 모르겠다고 했다.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는 마크네 부모가 직접 본국 대사관에 가 출생신고를 했기 때문에 국적이 부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미아 생각엔 도무지 불가능한 일이다. 일단 미아네 부부는 정치적 사유로 난민 인정을 받았다. 본국 대사관에 그렇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마크가 정말 콩고 국적을 취득했는지, 아니면 콩고 정부도 모르는 무국적 상태인지는 알 수 없다.
아이들이 ‘괴물’이라 놀려요한국에서 태어난 제제와 마크는 가족 결합 원칙에 따라 난민 지위가 부여됐다. 2004년 미아는 고향을 떠나 한국으로 들어와 난민 신청을 했다. 그리고 난민으로 인정받는 데까지 무려 7년이 걸렸다. 그 사이에 두 아이를 낳았다. 경제적 압박과 불안정한 지위로 인해 스트레스가 극에 달하던 시기였다.
제제를 초등학교에 입학시킬 무렵, 엄마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학교에 보낼 수 있는지 알 수 없었다. 내국인에게는 초등학교 취학 통지가 전달된다. 그러나 난민을 포함한 외국인 자녀는 초·중학교에 입학을 신청해 학교장의 허가에 따라 입학하도록 돼 있다. 미아는 이런 절차를 어디서도 통보받지 못했다. 아프리카 출신 흑인들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아이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줄까봐 늘 걱정이다. 동네 사람들은 제제네 가족을 ‘괴물’이라고 놀린다. 미아는 조금 멀더라도, 외국인 학생이 많이 다니는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학교에 제제를 보내고 있다.
7년 전, 벤자민의 두 아들은 ‘꿈’에 대해 자주 말하곤 했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하고 싶은 걸 다 하겠다는 다짐도 했다. 한국에서 새로운 희망을 틔우던 아이들은 이제 더는 꿈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7년 뒤, 미아네 두 아들의 ‘꿈’은 지켜질 수 있을까.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 |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검찰, 윤석열 구속기소…헌정사상 첫 현직 대통령 재판행
“새해 벌 많이 받으세요”…국힘 외면하는 설 민심
이재명 vs 국힘 대선주자 박빙…박근혜 탄핵 때와 다른 판세, 왜
“내일 가족 보러 간댔는데…” 22살의 꿈, 컨베이어벨트에 끼였다
한반도 머리 위 ‘폭설 소용돌이’…설 연휴 30㎝ 쌓인다
전도사 “빨갱이 잡으러 법원 침투”…‘전광훈 영향’ 광폭 수사
[속보] 검찰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 기소…“혐의 입증 증거 충분”
앞당겨진 재판 시계…검찰, 윤석열 ‘조사 없이’ 내란죄 수사 일단락
국힘,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에 “즉각 석방해야…공수처장은 사퇴하라”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