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6월, 동포 죽이는 살인무기 제조를 거부한 스이타역 타격사건
일본 지식인사회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그들의 잊혀진 역사를 찾아나서다
▣ 도쿄·오사카=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최근 일본 사회는 일본공산당뿐만 아니라 남한도 북한도 버린, 1952년의 재일 조선인의 ‘위대한 투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가운데 스이타 사건은 일본 반전 투쟁의 커다란 산이다. 일본공산당이 지도한 스이타 사건은 오사카부 스이타시 스이타역 조차장에 있던 군수열차를 타격하려다 경찰의 발포로 강제 진압된 투쟁으로, 지난해 6월 <오사카에서의 반전 투쟁>이라는 책이 나와 학계로부터 다시금 주목받았다.
1945년 패망한 일본은 1950~53년 한국전쟁을 계기로 다시 고도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다. 패망 이후 멈췄던 군수공장에서 다시 기계가 돌아갔고, 경기도 살아나기 시작했다.
강제징용자들의 새로운 비극
그러나 재일 조선인의 비극은 다시 시작됐다. 일제시대 강제징용으로 끌려와 군수공장에서 노역에 시달렸던 조선인들은, 이번에는 한국전쟁에 쓰이는 각종 무기를 만들어야만 했다.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우리 손으로 동포를 살해하는 무기를 만들어선 안 된다”며 파업을 선동했다. 그리고 공산당의 지도 아래 모인 시위대는 반전 집회를 마치고 군수공장 폭파·군수열차 정지 등 각종 폭력투쟁을 벌였다. 그 하나가 바로 스이타 사건이다.
초여름의 열기가 피어오르는 오사카 최대의 한인촌 쓰루하시. 한국전쟁에 실려가는 각종 무기의 원자재가 생산됐던 이곳에서 재일동포 시인 김시종(74)씨를 만났다. 일본공산당 민족대책부 산하 조국방위위 기관지 <마루세다>의 기자로 스이타 사건을 지켜본 그는 아직도 일본 경찰이 벌였던 추악한 탄압을 잊지 않고 있었다.
“제주도에서 4·3 항쟁을 겪고 한국에 건너온 뒤 1950년 공산당에 입당했어. 미군에 의해 폐쇄된 나카니시 민족학교를 다시 여는 임무를 맡았고, 동네 구석구석을 다니며 학생들을 모집했지. 고생 끝에 1952년 5월에 나카니시 학교의 문을 열고 조선말을 가르쳤어. 겨우 안정됐나 싶었는데 스이타 사건이 일어났어. 그해 6월24일이었지.”
한국전쟁 발발 2주년 전야였던 1952년 6월24일. 미군은 오사카부 이타미 기지에서 터를 잡고 연일 한반도를 향해 폭격기를 쏘아올렸다. 스이타역의 조차장에선 전쟁무기와 군수품을 실은 열차가 달렸다. 이 물건들은 고베항에서 한반도로 보내졌다.
이날 저녁 6시께 오사카대학에서 조선인과 일본인 4천여명은 ‘이타미 기지 분쇄, 반전 독립의 밤’ 집회를 치렀다. 집회를 마친 뒤, 시위대열은 두 갈래로 나눠 행진했다. 목표 지점은 스이타역 조차장. 시위대는 이곳에서 군수열차를 부수는 거사를 벌이기로 한 터였다.
“일본인들 대부분은 1차 집회를 마치고 자리를 떴고, 조선인들이 많이 남았어. 일단 스이타역의 철길과 열차에 불을 지르고, 그래도 안 되면 쇠사슬을 묶고 시위대가 철길에 드러눕기로 했지. 군 수송열차를 1시간 지연시키면, 조선인 동포 1천명을 살릴 수 있거든.”
흥분한 시위대열 “오사카역으로 가자!”
시위대는 화염병을 던지면서 경찰과의 대치와 돌파를 거듭한 끝에 25일 새벽에야 스이타역 조차장에 닿을 수 있었다. 그러나 썰렁한 철길 위에는 새벽 안개만 피워오를 뿐이었다. 군수열차는 보이지 않았다.
“오사카역으로 가자!”
흥분한 시위대열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시내로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전철을 타기 위해 시위대가 스이타 역사로 들어서는 순간, 기다리던 일본 경찰은 총을 쏘기 시작했다. 스이타역은 순간 아수라장이 됐다. 시위대는 뿔뿔이 흩어졌다. 11명이 중경상을 입고 250여명이 체포됐다.
김씨는 자신이 일궈왔던 나카니시 민족학교의 동지들이 많은 희생을 치른 것에 대해 가슴 아파했다.
“보통 열차 정지 투쟁에서 후미 대열은 선두 대열보다 훨씬 위험했어. 후미 대열은 십중팔구 경찰에 잡혀갔지. 공산당 상부에서 후미 부대를 누구로 할까 고민했는데, 나카니시 사람들이 선정된 거야. 나카니시는 당시 오사카 일대에서 가장 잘 조직된 곳이었거든. 말리고 싶었지만, 내가 어떻게 할 수도 없고….”
김씨와 절친했던 나카니시 민족학교 교장인 장학수씨와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이 이날 일본 경찰에 연행됐다. 이날 체포된 시위대 250여명 가운데 111명이 소요죄와 공무방해죄로 일본 검찰에 기소됐다. 이 가운데 40%가 조선인이었다. 재판은 19년이 걸렸다. 이 와중에 1953년 재판정에 선 피고들이 전쟁에서 숨진 사람들을 위해 묵념을 한 ‘스이타 묵념’ 사건(상자기사 참조)이 일어나는 등 여러 논란이 인 끝에 결국은 전원 무죄 판결을 받았다.
김시종씨는 한국 음식점이 즐비한 쓰루하시 일대를 가리키며 “여기서 한국전쟁 때 쓰이는 군수물자를 다 조달했다”며 씁쓸해했다. 가난했던 조선인들은 고철을 주워 영세 철공소에 갖다주며 생계를 이어갔다. 철공소는 이를 적당히 가공해 대규모 군수공장에 내다 팔았다. 군수공장의 하청업체였던 셈이다. 한번 터지면 사방 200m로 파편이 튀는 오아쿠 폭탄도, 네이팜탄도 이곳 조선인 노동자들의 손을 거쳤다. 수류탄의 안전핀을 직접 만드는 공장도 있었다.
‘조선인 사장’들은 파업에 불편해하다
그래서 조선인 당원들은 철공소 노동자들에게 ‘동포를 죽이는 일에 가담치 말라’며 파업을 선동했고, 일단 만들어진 전쟁무기가 조국으로 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선 군수열차를 정지시켜야만 했다. 돌을 던져 신호등을 깼고, 철길의 목침을 잘랐다. 화염병을 던져 수송열차 한 편만 정지시켜도 복구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을 벌 수 있었다. 절박했다. 살인무기가 조선 반도로 건너가도록 놔둬선 안 됐다.
흥미로운 건 쓰루하시에 있는 영세 철공소 사장의 상당수가 자수성가한 조선인이었다는 점이다. 조선인 사장으로선 ‘동족상잔의 무기’라도 팔아야 이문이 남았다. 그래서 김씨는 “1950년대 반전 투쟁은 재일 조선인이 계급적으로 분리되는 계기”라며 “반전 투쟁은 계급 투쟁이기도 했다”고 평했다. 철공소 사장들은 공산주의자들이 ‘기계를 멈추라’고 하는 파업 선동에 불편해했고, 일부는 민단이 보낸 ‘학도 의용군’에 성금을 보냈다고도 했다.
|
1922년 7월 일본공산당 창당. 가타야마 센, 사카이 도시히코, 도쿠다 규이치 등이 중심 인물.
1923~24년 주요 간부가 체포되면서 비합법적인 투쟁 전개.
1931년 10월 ‘일국일당’ 원칙에 따라 조선노동당 일본총국이 흡수되면서 조선인들이 활동 시작.
1945년 10월 주요 간부 출옥, 합법적인 정당으로 재건. 중앙위원에 재일 조선인 김천해 포함됨.
1949년 1월 총선거에서 35석 차지.
9월 점령군(미군)·일본의 좌익 탄압 정책(단체 등 규제령)에 따라 재일본조선인연맹(조련) 해체.
1950년 1월 코민포름의 일본공산당 비판. ‘평화혁명론’과 ‘점령군=해방군론’은 제국주의를 찬미하는 이론이라는 내용. 이를 소극적으로 받아들인 소감파와 전면적 수용을 주장한 국제파로 분열.
5월 민족대책부 중심 비합법적 조직 조국방위위 결성.
6월 점령군, 공산당 중앙위원 추방령 발표. 기관지 <아카하타> 발행 금지. 도쿠다 규이치 중국 망명.
1951년 10월 ‘51년 테제’ 발표. 무기제조법 교과서 배포하는 등 군사노선으로 선회.
1952년 5월 조선전쟁 반대 투쟁. 도쿄 ‘피의 메이데이’ 사건, 스이타 사건.
7월 나고야 오스 사건
1954년 8월 북한 남일 외상 성명 “재일 조선인은 공화국의 해외 공민”.
1955년 초 조선인 당원 집단 탈당.
5월 재일본조선인총연합(총련) 결성.
7월 제6차 전국협의회에서 극좌모험주의 비판, 평화혁명 노선으로 재전환, 민족대책부 해체.
2005년 현재 중의원 9석(총 480석), 참의원 9석(총 242석).
|
스이타 사건의 피고인 111명은 소요죄와 공무집행방해죄로 검찰에 기소돼 재판을 받았다. 대개가 재일 조선인이었다. 변호인단은 “헌법 옹호를 위해 행진하던 시위대를 경찰이 부당하게 습격한 사건”이라고 반박했다.
1953년 7월29일 제29차 공판. 조선인 피고인 강순옥은 재판정에서 “7월27일 합의된 휴전을 축하하며 전쟁 때 스러진 희생자를 위해 묵념하자”고 제안했다. 이 말이 떨어지자마자 피고인들은 일제히 묵념을 했다. 검사는 제지를 요청했지만, 재판을 진행하던 사사키 데쓰조오 판사는 묵념을 중지시키지 않았다.
이 사건은 일본 법조계에 파문을 던졌다. 재판정에서의 단순한 묵념 사건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으로 번졌다. 오사카 검찰은 재판부가 중립을 지키지 않았다며 즉각 항의했고, 중의원 법무위원회까지 나서 ‘적절한 조처’를 요구했다. 재판관 탄핵소추위원회는 8월11일 오사카 고등법원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그러나 사사키 판사는 “재판의 독립성을 해치는 행위”라고 조사를 거부했다. 오사카 지방법원 판사들도 자료 제출을 거부했기 때문에 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피고인 전원이 무죄 판결을 받음에 따라 사건은 일단락됐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체포-구속-파면-조기대선, 운명을 받아들여야 한다
“내란 처벌 안 하면 다시 총 겨눌 것” 광장 밝힌 시민들 [영상]
나훈아 ‘왼팔’ 발언…“일제 침략에 ‘조선 니는 잘했나’” 비판 확산
우크라 “2005년생 북한군 생포…한국 국정원 협력해 심문 중”
[속보] 윤석열 쪽 “14일 헌재 불출석…신변안전·불상사 우려”
‘김건희 라인’ 김성훈에 경호처 직원·간부 “체포 막으면 불법” 항명
러시아와 전쟁 대비하는 독일…영토 방어 전담 육군 사단 신설
“우린 윤석열과 함께 싸우다 죽겠다”…점입가경 탄핵 반대 집회
김민전에 “잠자는 백골공주” 비판 확산…본회의장서 또 쿨쿨
우리는 ‘멍청함’과 싸워야 한다 [왜냐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