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129명 숨진 사고 뒤… 기승전 ‘가덕도’

기승전 ‘가덕도’
등록 2021-02-07 18:27 수정 2021-02-09 07:24
2016년 파리공항공단의 입지 평가에 따라 영남권 신공항으로 결정된 김해신공항은 2020년 국무총리실 검증위의 결정에 따라 사실상 사업이 중단됐다. 국토교통부 제공

2016년 파리공항공단의 입지 평가에 따라 영남권 신공항으로 결정된 김해신공항은 2020년 국무총리실 검증위의 결정에 따라 사실상 사업이 중단됐다. 국토교통부 제공

애초 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2002년 4월 논의가 시작됐다. 김해국제공항에 내리려던 중국 항공기가 주변 돗대산과 충돌해 한국인 111명을 포함한 129명이 숨진 사고가 계기였다. 2006년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로 2007년 첫 사전타당성 검토가 이뤄졌다. 이명박 정부는 2011년 가덕도와 밀양의 입지를 모두 부적격으로 판단하고 이 사업을 중단시켰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2013년 영남권 지방정부의 요구에 따라 입지 선정 절차가 재개됐다. 영남권 5개 지방정부가 결과에 따르기로 합의하고, 프랑스의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에 평가를 맡겼다. 2016년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은 밀양(2~3위)과 가덕도(4~5위)보다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이 더 타당하다는 결론을 냈다.

이에 따라 김해 신공항 사업은 2016~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7~2018년 기본계획 수립 절차에 들어갔다. 하지만 2017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고 2018년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부산·경남·울산 선거에서 승리하며 상황이 급변했다. 민주당 시도지사들은 안전과 소음, 활주로 용량 등을 이유로 김해 신공항 사업의 백지화를 요구했다.

결국 2019~2020년 국무총리실 김해 신공항 검증위원회는 “김해 신공항 사업에 상당 부분 보완이 필요해 근본적인 검토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런 결과가 나오자 부산·경남·울산 지역은 김해 신공항 사업을 사실상 취소된 것으로 보고 가덕도 신공항 사업을 밀어붙이기 시작했다.

현재 부산과 경남, 울산에서 추진하는 가덕도 신공항은 장거리 노선이 취항할 수 있는 3500m 활주로와 여객·화물 터미널 등을 갖춘 국제공항이다. 연간 이용객 3500만 명과 화물 63만t을 처리할 수 있다. 공항의 넓이는 598만㎡로, 이 가운데 57%는 땅이고 43%는 바다를 메울 예정이다. 부산시는 전체 사업비를 7조5400억원이라고 밝혔으나, 활주로 수나 사업 기간을 고려할 때 실제 사업비는 최소 10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1990년 시작된 인천국제공항 사업은 3단계까지 14조원가량 투입됐고, 현재 4단계에 4조원이 추가 투입되고 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