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명의 게이들이 뭉쳤다. 이름하여 ‘2017 대선-GAY SUMMIT(게이 서밋) 300’.
4월15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천도교 수운회관에서 성소수자들이 한데 모여 5월9일 치러지는 대통령선거를 주제로 한판 수다를 벌였다. 성소수자들이 대선 과정에서 대규모로 모여 의견을 종합하고 이를 정치권에 요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행사는 6~7명의 게이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에서 성소수자로 살며 겪는 어려움을 나누고 필요한 정책을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 행사를 주최한 한국 게이인권 운동단체 ‘친구사이’ 대표 김찬영씨는 “성소수자 커뮤니티 안에서 이번 대선에 대해 마음 편히 얘기해보는 자리를 마련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해 성소수자로 한국 사회에 살면서 어떤 점이 불편했는지 공유하고, 정부나 정치권에 할 수 있는 요구를 모으기 위해 행사를 기획했다. 우리 의견이 반영된 요구안을 만들어 유력 대선 후보 캠프에 전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 목소리가 정치권에 가닿고 우리가 정치 세력화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은 행사 전날인 4월14일 이번 행사에 참여 예정인 성소수자 3명을 사전 인터뷰해 이번 행사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며 대선 후보들에게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들어보았다. 이들은 이번 대선 쟁점의 하나로 떠오른 차별금지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데 목소리를 함께했고, 각자의 처지에서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구체적인 요구 사항을 펼쳐놓았다.
“성소수자 활동을 지원하라”길(30)대기업을 다니다 2015년 12월에 퇴사했어요. 일하지 않는 1년 동안 중국에 어학연수를 다녀온 뒤 게이 인권단체에서 재정팀장을 맡아 일했어요. 그런데 최근 다시 취업하려니 1년 동안 저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사람’이 되더군요. 면접 보러 다니는데 면접관이 “쉬는 동안 뭘 했느냐”고 물으면 할 말이 없더라고요. 제가 해온 활동을 회사에 드러내기 힘든 사회 분위기가 있으니까요. 성소수자는 자신이 열정을 쏟아 열심히 해온 일이 ‘없던 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소수자 활동을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상시적으로 거짓말을 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합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과 대화할 때 “주말에 뭐 했냐”고 물으면 아무것도 안 했다고 말하거나 거짓말을 꾸며 얘기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려요. 이런 상황이 취업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지속적으로 반복되죠.
대선 후보들에게 요구하고 싶은 것은 성소수자로서 하는 활동을 마음 편하게, 기업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달라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먼저 군형법 안에 남아 있는 동성애 처벌 조항을 삭제하고,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금지를 못박은 차별금지법이 제정돼야 해요. 제도적 뒷받침이 우선해야 사회적 인식이 개선될 수 있으니까요. 또 정부에서 성소수자 활동을 많이 지원해줘야 해요. 그렇게 되면 일반인들의 인식도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기업도 이 부분을 받아들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동성결혼을 제도화하라”백팩(26)동성결혼 제도를 얘기하고 싶어요. 성소수자가 모인 공동주택에서 애인과 함께 3년 넘게 살고 있습니다. 저희는 결혼한 것과 마찬가지로 깊은 관계고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몇 달 전 애인이 갑작스럽게 심장 수술을 받았어요. 수술을 하려면 보호자 동의가 필요하잖아요. 저희 둘 다 본가가 서울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함께 사는 제가 보호자가 되어 서명하면 좋았을 텐데 그럴 수 없었죠. 중요한 수술에 사실상 배우자인 사람이 같이 가줄 수 없다는 것이 너무 안타까웠어요. 이런 상황이 더욱 피부로 와닿은 것은 애인이 수술 뒤 중환자실에 들어가 있을 때였어요. 연락이 안 되니까 답답하고 심장 수술이 워낙 위험하니 무서운 생각도 들었습니다. 어쩌다 잘못되면 죽음조차 지킬 수 없으니까요. 20년 같이 산 커플도 죽음의 순간을 지켜보지 못하고 사별하는 일이 더러 있다고 들었는데 직접 겪으니 정말 무섭더라고요.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면 여러 문제가 발생해요. 예를 들어 제 소유의 집에서 애인과 함께 살다가 제가 죽으면 애인한테는 그 집에 대한 권리가 전혀 없습니다. 부부는 무촌이라고 하죠. 피를 나눈 가족보다 가까운 사이예요. 그런데 성소수자 커플은 제도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사실, 부부로서 법적 권리가 전혀 없다는 사실에 두려움을 느껴요. 대선 후보들에게 꼭 하나 얘기하고 싶은 게 바로 이겁니다. 동성결혼을 제도화해달라는 거예요.
“복지를 특정 종교단체에 맡기지 말라”김찬영(31) 친구사이 대표2014년 서울 성북구에서 학교나 친구 관계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 성소수자를 상담하고 지원하기 위한 공간인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를 만드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지역 안에서 이런 공간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거든요. 이 계획은 서울시의회에서도 모범적 사업으로 호평받아 예산이 편성됐어요. 그런데 성북구의 대형 교회 목사들이 모여 이 센터를 만들지 못하도록 김영배 성북구청장을 압박하는 일이 벌어졌어요. 결국 구청장은 주민들의 요청에 의한 사업인 이 계획을 ‘예산 불용’ 방식으로 무산시켰습니다. 당시 저는 성북구 주민이어서 구청장을 만나 항의했지만, 구청장은 “미안하지만 어쩔 수 없다, 이해해달라”고만 했어요.
제가 ‘청소년 무지개와 함께 지원센터’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당사자는 아니었지만 당시 그 일을 겪으면서 제 존엄도 훼손당하는 느낌이 들었어요. 그 시기를 거쳐온 사람으로서 성소수자 청소년이 어떤 고민을 하고 어떤 고통을 겪는지 너무나 잘 알기 때문입니다.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복지시설 가운데 많은 수가 특정 종교단체를 통해 운영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이 발생하면 종교단체들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복지시설에서 다 빠지겠다며 지자체를 압박하곤 해요. 국가가 담당해야 할 복지 시스템을 특정 종교에 맡겨두니 우리 같은 소수자가 배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밖에 없죠. 복지 예산을 국가가 좀더 신경 써서 편성해야 해요. 복지 관련 업무는 국가나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대선 후보들에게 요구하고 싶습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김완 기자 funnybone@hani.co.kr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탄핵소추 되고 보니 이제야 대통령이구나 생각 들어”
“윤석열, 아예 말을 하지 않는 상태”…점심은 도시락
‘윤석열 구금’ 서울구치소 오늘 저녁은 ‘불고기·콩나물국’
“윤석열, 체포 전 샌드위치 10개 만들어…어쩜 그리 의연하실까”
공수처 “윤석열 구금 장소는 서울구치소”
설 민생지원금 1인당 50만원까지…지자체, 내수경제 띄우기
‘내란성 불면증’ 뜬눈 지샌 시민들 “속 시원하다”
“윤석열 체포 영웅은 경호처 직원”…부당지시 거부 용기에 박수
윤 체포 날도 양다리 걸친 최상목…‘비상계엄 반대’ 주장, 믿을 수 있나?
[영상] 윤석열 체포…현직 대통령으론 헌정사상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