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9일 오전 10시 경기도 안산 단원고 강당에서 제8회 졸업식이 열렸다. 학교를 떠나는 3학년생 505명과 학부모, 1~2학년이 참여한 이날 졸업식은 희생된 2학년생 246명을 추모하는 묵념으로 시작했다. 생존한 2학년생 75명이 모두 참석해 졸업하는 선배들을 축하했다. 여학생은 가수 이선희의 노래 과 뮤지컬 삽입곡
대학이 원한다면 특별전형 실시
1월9일 오전 10시 경기도 안산 단원고에서 열린 제8회 졸업식에서 2학년 학생들이 졸업하는 선배를 축하해주는 공연을 하다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첫째, 국무총리실 소속인 ‘4·16 세월호 참사 배상 및 보상 심의위원회’에서 참사 피해자들에 대한 배·보상을 심의, 결정한다. 재원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모인 국민성금 1257억원을 쓴다. 다만 부족하면 국고에서 추가로 지원한다. 둘째, 사고 구조 및 수습 활동 등으로 손해를 본 전남 진도민들에게 손실을 보상한다. 셋째, 세월호 피해자의 넋을 기리는 추모공원과 추모기념관은 국무총리실 소속인 ‘세월호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위원회’에서 조성한다. 이 사업을 수행할 4·16재단을 세우고 국가가 5년간 예산을 지원한다.
“친구 보고 싶다” 음독자살 시도
이 밖에 여야 합의 사항에는 단원고 2학년생들을 위한 ‘정원 외 특별전형’이 들어 있다. 단원고 2학년생들이 무조건 특별전형으로 대학을 가게 되는 것이 아니라, 대학이 원한다면 2016년 대학 입시에 특별전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허용한 ‘임의규정’이다. 이를 MBC는 1월6일 ‘단원고 2학년 대입 특례… 세월호 배·보상 특별법 최종 합의’라는 제목으로 집중 보도하며 “피해 가족 등의 여론을 수렴한 야당의 요구가 수용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장동원 생존 학생 학부모 대표는 “희생자 부모에게 상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대학 특례입학 지원을 요구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과 시민·언론단체는 1월8일 낮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비판했다. “살아 돌아온 아이들에게 요구하지 않은 법으로 이렇게 또다시 상처 주는 어른들과 언론을 용서할 수 없다. 죄책감에 지금껏 제대로 한번 웃어본 적 없는, 그래서 자신들이 되찾은 목숨마저 끊겠다고 하는 생존 학생들에 대한 고려는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단원고 2학년 ㄱ양은 2014년 12월21일 밤 10시께 안산시 단원구 자택에서 음독자살을 시도했다. 약물을 과다 복용한 채 쓰러져 있는 ㄱ양을 동생이 발견해 병원으로 옮겨 목숨을 구했다. ㄱ양은 세월호에 함께 탔던 친구가 보고 싶다는 글을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이재명 항소심 재판부, 대법원 최신판례로 무죄 선고했다
‘윤 체포 저지’ 김성훈 대기발령…경호처 연판장 17일 만에
문 전 대통령 국회서 작심발언 “반동·퇴행 3년, 마음 편할 날 없었다”
김건희 기소 가능성 커졌다…재수사 지휘는 ‘내란 수사’ 박세현
윤석열보다 문재인이 수돗물 많이 썼다?…윤건영 “치졸한 말장난”
임은정 책 반송한 윤석열…“아내는 박절하지 못해 디올백 받았는데”
병상의 교황, 윤석열 계엄 때 “걱정…한국서 어떻게 그런 일이” [영상]
김계리 “윤상현 개XX, ‘내가 윤심이다’ ‘윤어게인 적통이다’ 이 지X”
통일교 캄보디아 사업에 공적자금 쓰려고 ‘김건희 목걸이’ 건넸나
이재명, 전국지표조사서 처음으로 지지율 40%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