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여기, 사람이 있었습니다

9월 초 세월호 참사 기록물을 정리·전시하는 ‘기억저장소’

1호 문 열 예정… “출발은 고통스러웠지만 끝은 행복할 것”
등록 2014-08-27 07:32 수정 2020-05-02 19:27
경기도 안산 고잔동의 한 상가건물 2층에서 20여 명의 건축가들이 지관통 5천여 개로 ‘이미지월’을 만들며 ‘세월호 기억저장소 1호’ 오픈을 위한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아름다운재단 제공

경기도 안산 고잔동의 한 상가건물 2층에서 20여 명의 건축가들이 지관통 5천여 개로 ‘이미지월’을 만들며 ‘세월호 기억저장소 1호’ 오픈을 위한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아름다운재단 제공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 연립주택 단지 내 자그마한 상가 2층. 아침부터 비가 내린 탓인지 단지는 모두 조용하게 가라앉았지만 이곳만은 북적북적하다. 18평의 좁은 공간은 지관통(종이로 만든 통)을 나르는 소리, 사람들의 말소리로 가득 찼다.

시민들 1천 건 이상의 기록물 보내와

이곳은 9월 초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민네트워크’(이하 기억넷)의 기록물을 정리하고 전시하는 공간 ‘기억저장소’ 1호로 탄생한다.

막바지 오픈 준비에 한창인 지난 8월21일, 건축가 20여 명이 이곳에 모여 한쪽 벽을 ‘이미지월’로 꾸몄다. 이미지월은 지관통 5천여 개를 빼곡하게 쌓아 만드는데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다. 건축사무소 직원과 지역 활동가도 함께했고, 어린아이도 물건을 나르며 거들었다.

공사를 마치고 가구까지 들이면 기억저장소는 채비를 마친다. 이미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다. 기억넷은 지난 6월부터 온·오프라인으로 기록을 수집했는데 시민 200여 명이 1천 건 이상의 기록물을 보냈다. 아름다운재단은 ‘기억 0416’ 캠페인을 통해 시민들의 기부를 받고 공간 구축을 지원했다.

공간이 완성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게 된다. 단원고 학생들이 남긴 삶의 흔적, 시민들의 애도 메시지 등 다양한 기록이 이곳에 쌓인다. 유가족과 시민들이 함께 세월호의 기록을 보며 이야기하는 시사회도 열린다. 기억저장소 2호도 조만간 고잔동에 오픈한다.

기억넷을 이끌고 있는 김익한 명지대 교수는 “이 기억의 출발은 고통스러웠지만 그 끝은 행복할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기억저장소를 통해 상처받은 사람들의 삶이 복원되고, 안산은 물론 한국 사회가 변화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러나 갈 길은 멀다. 사람들은 이미 세월호를 조금씩 지워가고 있다. 고잔동 주민들도 마찬가지다. 권용찬 기억넷 팀장은 “일부 상가나 주민분들 중에서는 기억저장소를 부담스러워하는 경우도 있다”고 귀띔했다. 고통스러운 기억을 잊고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마음이 엿보인다.

언론매체들도 1면 머리기사 제목을 ‘세월호에 발목 잡힌 국회’로 뽑는다. 이제 좀 그만하자는 것이다. 역설적으로 유가족들이 기록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도 이같은 언론 덕분이다. 권용찬 팀장은 “언론에 실망한 유가족들이 ‘잊히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기록을 남겨야 한다’는 마음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싸움의 현장이자 치유의 쉼터

이날 공사 현장에 들른 유가족 박보나(고 박성호군 누나)씨는 “기억저장소가 어서 오픈해서 아이들의 물건을 전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이들이 단순히 희생자 명단의 ‘숫자’가 아니라 각자 꿈을 가지고 자라나던 ‘사람’으로 기억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 소박한 바람을 이루기 위해, 언론도 정부도 제대로 기록하지 않는 죽음을 역사로 남기기 위해, 유가족들은 광화문에서 또 이곳 안산에서 싸우고 있다. 기억저장소는 이 싸움의 현장이자 치유의 쉼터다.

박효원 아름다운재단 간사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