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우토로를 잊지 마세요

한국 지원에 힘입어 일본 정부 공영주택 건설 등 나선 우토로 현지 르포
한-일 관계 경색과 우익 반발에 불안한 희망
등록 2014-02-28 08:43 수정 2020-05-02 19:27
9년 전 강제퇴거를 반대하는 간판이 즐비했던 우토로 마을 어귀에는 우토로의 의미가 담긴 글귀와 그림이 놓여 있다.

9년 전 강제퇴거를 반대하는 간판이 즐비했던 우토로 마을 어귀에는 우토로의 의미가 담긴 글귀와 그림이 놓여 있다.

아낙들은 우물가에 모여 빨래를 하고, 치마저고리를 입은 소녀들이 조잘거린다. 교토 긴텐쓰선을 타고 이세다역에서 내려 10여 분을 걸으니, 70여 년 전 이곳에서 고단한 삶을 꾸려나가던 재일조선인들을 추억하는 그림이 눈에 들어온다. 교토부 우지시이세다초 우토로 51번지. 일본 내 마지막 조선인 징용촌, 우토로 마을이다.

마을 만들기 공사 완료까지 5년 걸릴 듯

우토로는 재일조선인의 고향

우토로는 반전(反戰)의 기념비

우토로를 없애는 것은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없애는 것

우토로를 없애는 것은 일본의 전후(戰後)를 없애는 것

우토로를 없애는 것은 일본인의 양심을 없애는 것

9년 전, 우토로에 첫발을 디딘 취재진을 맞았던 ‘구호’는 여전히 마을 어귀에 숨 쉬고 있다( 제560호 참조). 한-일 양국에서 버려진 채 스스로 일궈온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위기에 몰렸던 재일조선인들이 손수 지었다는 구호다. 마을 앞에 즐비했던 ‘강제퇴거 반대’ 간판 자리에는, 시구가 적힌 벽화가 들어서 있다. 강제철거 위기에서 벗어난 뒤 찾아든 변화다. 수많은 우여곡절을 뒤로하고, 우토로 마을은 새로운 출발점에 서 있다. 지난 1월 말, 일본 국토교통성·교토부·우지시가 참여하는 ‘우토로지구 주거환경 개선검토 협의회’는 우토로에 공영주택 60채 및 도로 건설, 상하수도 시설 정비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마치즈쿠리’(민관 협치 마을 만들기)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협의회 출범 7년 만이다. 기본구상에 맞는 계획을 세우고 설계 작업을 거쳐 본격적인 공사가 완료되기까지는 최소 5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일인 지난 2월12일, 마을은 고요했다. 1999년 320여 명이던 주민 수는, 한국 시민들의 관심이 이어지던 2005년 당시 200여 명으로 줄었고, 지금은 151명이다. 1940년대부터 우토로를 지켜온 1세대는 5명만이 생존해 있다. 2012년 말 ‘마치즈쿠리’를 위한 기초조사 결과를 보면, 주민 158명 가운데 65살 이상 고령자는 57명(36.1%)이었다. 우토로에 40년 이상 거주한 세대는 80%에 달했다.

3분의 2 세대 아직도 우물물 길어다 써

마을회관 벽 한켠에는 2007년 주민들이 모여 찍은 기념사진이 컬러로 인쇄돼 붙어 있었다. 쫓겨나지 않을 수 있다는 희소식에, 어르신들의 얼굴이 모처럼 환하게 핀 날이라고 했다. “서울에서 왔다꼬.” 매일 마을회관을 찾는다는 강경남(90) 할머니가 이날도 마을회관에 들렀다. 경남 사천에서 태어나 아홉 살 때 일본 오사카로 건너왔다는 할머니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폭탄을 피해 해방 직전 우토로에 들어와 한평생을 살았다. 곡절 많은 인생사가 경상도 사투리와 일본어가 뒤섞인 채 쏟아져나온다. “여 오니 어데 묵고살 게 있나. 남자들은 어데 일 찾으러 가고. 우덜은 조매난 아를 놔두고 고철 주워가 짊어지고 온다. 그 팔믄 돈 조맨씩 벌어. 촌에 나락도 비로 가고, 풀도 매러 가고. 나물 캐와 팔고 그래가 살았다.”

마을 주민회 하수부(67) 부회장은 1989년을 도무지 잊을 수 없다. 우토로에서 나고 자라, 다시 이곳에서 6명의 자녀와 16명의 손자를 봤다는 그에게 ‘우토로에서 나가라’는 퇴거명령서가 날아들었다. 주민들의 외롭고 기나긴 싸움이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1941년 제2차 세계대전 중 군사용 비행장 건설을 위해 일본 정부는 조선인 노동자를 반강제로 동원한다. 그들의 합숙소(함바)가 우토로 마을 역사의 시작이었다. 일본이 패전한 뒤, 우토로 땅에 들어온 미군은 주민들을 쫓아내려 했다. 주민들은 미군이 든 총 앞에서도 물러서지 않았다. 1960년대 마을 토지 소유권은 비행장 건설업체를 인수한 닛산차체로 넘어간다. 닛산차체는 주민들의 토지 점유를 묵인했지만 도로·상하수도 등 인간답게 살기 위한 시설 설치를 허용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는 주민들이 어떻게 사는지 들여다보지 않았다. 주민들을 외면한 건, 한국 정부도 마찬가지였다. 1987년 닛산은 우토로 땅을 제3자에게 매각했고, 소유권은 서일본식산으로 넘어간다. 1989년 서일본식산은 주민들에게 퇴거를 요구하며 토지명도 소송을 제기했다. 2000년 일본 최고재판소는 퇴거명령 확정판결을 내린다.

우토로의 시간은 25년 동안 멈춰서 있다. 강경남 할머니 집 앞에는, 함바집 두 채가 무너질 듯 서 있다. 1980년대까지도 사람이 살던 곳이다. 인근 일본인 마을과 달리, 우토로 마을길의 포장 상태는 매끄럽지 않다. 마을 지대는 배수로 깊이보다 낮아 침수 피해가 빈번하다. 우지시를 상대로 ‘투쟁’을 벌인 끝에, 상수도가 마을에 설치된 건 1987년의 일이다. 경제적 여유가 있는 세대는 상수도에서 물을 끌어다 쓸 수 있는 관을 설치했지만, 나머지 3분의 2 세대는 지금도 우물물을 길어다 쓰고 있다. “앞으로 여기서 살 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상황이 계속돼왔기 때문에, 마을 모습은 1980년대 말 이후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 주민들을 돌보고 있는 미나미야마시로동포생활센터 김수환 대표의 설명이다.

한국 사회에 우토로 주민들의 사연이 본격적으로 알려진 건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의 일이다. 2004년 9월, 일본 시민단체인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 회원 및 주민들은 강원도 춘천에서 열린 한-중-일 거주문제 국제회의에 참여했다. ‘우토로를 지켜달라’는 애끓는 호소는 지구촌동포연대(KIN) 등 여러 단체를 움직였다. 이듬해 한국에선 ‘우토로국제대책회의’가 결성됐다. 잘못된 한-일 협정이 문제의 본질이었다. 그러나 당장 주민들의 거주권 확보가 시급했다. 은 우토로국제대책회의·아름다운재단 등과 함께 ‘그까이꺼 사버리자’며 우토로 토지 매입을 위한 모금운동에 나섰다. 당시 서울에 사는 51살 주부 독자는, 10년 동안 푼푼이 모은 500만원을 남편 몰래 쾌척하기도 했다. 뜨거운 여론은, 정치권을 움직였다. 2007년 말, 국회에서 우토로 토지 매입을 위한 예산 30억원 지원을 의결했다. 한-일 시민사회와 재일동포 등이 우토로를 지키기 위해 모금한 돈은 17억원이었다.

“교토부에 우익 쪽 항의 전화 많이 와”

우토로 토지 매입이 완전히 마무리된 건 그로부터 4년이 지난 뒤였다. 한국 정부의 지원금은 곧바로 주민들에게 전달되지 못했다. 다른 재외동포와의 형평성을 이유로 예산 집행이 미뤄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엔화 가치가 치솟았고, 확보할 수 있는 부지는 줄었다. 2011년, 한국 정부 지원금을 관리하는 ‘우토로 재단법인’은 우토로 땅 3808.4㎡ (약 1152평)를 사들였다. 한 해 앞서, 주민회는 한-일 시민사회가 땅 매입을 위해 모금한 돈을 기반으로 ‘우토로 민간기금재단’을 설립하고 우토로 땅 2750.52㎡(약 832평)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두 재단이 소유한 땅은 우토로 마을의 약 3분의 1 크기다. 토지 문제가 매듭지어진 뒤에야, 일본 정부는 ‘마치즈쿠리’ 사업의 닻을 올렸다.

지난 2월13일 우토로 마을회관에서는 주민회 김교일 회장을 비롯해 지구촌동포연대,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관계자들이 모여 ‘우토로 민간기금재단’ 평의원 회의를 열었다.

지난 2월13일 우토로 마을회관에서는 주민회 김교일 회장을 비롯해 지구촌동포연대,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관계자들이 모여 ‘우토로 민간기금재단’ 평의원 회의를 열었다.

2월13일 저녁, 마을회관에 반가운 이들이 속속 모여들었다.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 대표 다가와 아키코, 지구촌동포연대 배덕호 대표와 배지원 운영위원,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관계자 등 우토로 주민의 강제퇴거를 막는 데 함께해온 이들이다. 이들은 주민들과 함께 우토로 민간기금재단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이날 재단의 첫 평의원 회의가 열렸다. 배덕호 대표 대신, 오사카 코리아엔지오센터 곽진웅 대표가 새 평의원이 됐다. 코리아엔지오센터는 민단도 총련도 아닌 제3의 단체로 민족교육문화센터·재일한국민주인권협의회 등 여러 단체가 모여 2004년 설립됐다. 이로써 일본 시민단체와 재일조선인 3개 단체가 우토로 주민들과 함께, 민간의 도움으로 확보한 토지 활용 및 역사기념관 건립 방안 등을 논의해나갈 예정이다.

우토로 마을이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기 위해선 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한국 정부 쪽이 보유한 재단 땅 위에서 일본 행정이 환경 정비사업을 하는 ‘유례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 쪽 재단 보유 땅을 무상으로 빌려, 60세대가 입주할 공영주택을 짓겠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조건을 우리 정부가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외교부 관계자는 “(기본구상과 관련해) 일본과 협의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급격히 경색되고 있는 한-일 관계에서, 우토로가 또다시 소외될 가능성도 있다. 더구나 일본 우익은 우토로를 주시하고 있다. 김수환 대표는 “주거환경 개선 기본구상이 발표된 뒤 우지시나 교토부에 (우익 쪽이) 항의 전화를 많이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민들이 건물 철거에 따른 보상금을 아예 받지 못하는 건, 일본 우익에 책 잡힐 빌미를 주지 않고 일본 행정을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곽진웅 대표는 “한-일 관계가 나쁜 상황이지만, 우토로 문제 해결만큼은 한국 정부가 꼭 지켜야 할 책임이고 역사 청산 차원에서도 굉장히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잘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우토로에 대한 관심 거두지 말아달라

“마을 정비를 빨리 마무리해 새집으로 1세대 할머니들을 모시고 싶다. 남아 있는 옛 건물을 보존해 새 마을로 이전하면 좋을 것 같다. 5년 뒤에 꼭 오시라.” 하수부 부회장의 소박한 바람이다. 마을을 찾은 한국 학생들과 시간을 보낸 뒤 헤어질 때면, 이곳 어르신들은 늘 눈물을 글썽거린다고 했다. 국가의 힘이 아닌, 당신들을 기억해주는 평범한 사람들 덕에 이 땅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게 됐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우토로는 식민지배와 전쟁, 민족 차별. 전후 보상 문제 등 어두운 과거를 고발하는 살아 있는 역사다. 이러한 역사는 어디로 어떻게 흘러갈 것인가. 한참 동안 인생사를 들려주던 강경남 할머니가 민요 가락을 흥얼거리기 시작했다.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아직은 우토로에 대한 관심을 거두지 말아달라는, 당부 같았다.

우토로(일본)=글·사진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 우토로 마을이 걸어온 길
1941년 - 일본 정부, 교토 군용 비행장 건설을 위해 재일조선인 1300명 동원. 우토로 마을 형성
1945년 - 제2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군 비행장 건설 중단. 미군, 우토로 주민 강제퇴거 시도했으나 실패
1987년 - 닛산차체, 우토로 토지 매각. 서일본식산으로 소유권 이전
1989년 - 서일본식산, 주민들 상대로 강제퇴거 요구하며 토지명도 소송 제기. 일본 시민들 ‘철거반대!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 결성
2000년 - 일본 최고재판소, 주민 강제퇴거 확정판결
2001년 - 유엔 사회권규약위원회, 우토로 철거 문제에 우려 표명
2004년 - 우토로 주민들, 한국서 열린 ‘한-중-일 거주문제 국제회의’ 참가해 강제퇴거 문제 호소
2005년 - 한국 시민단체들 ‘역사 청산! 거주권 보장! 우토로 국제대책회의’ 결성. 아름다운재단, 우토로 땅 매입을 위한 모금 캠페인 실시
2007년 - 일본 국토교통성·교토부·우지시 참여 ‘우토로지구 주거환경 개선검토 협의회’ 발족. 한국 국회, 우토로 토지 매입 예산 30억원 가결2010년 주민회, 시민사회 모금액 기반으로 ‘우토로 민간기금재단’ 설립. 우토로 동쪽 땅 2750.52㎡(약 832평) 매입
2011년 - 한국 정부 지원금 관리하는 ‘우토로 재단법인’, 땅 3808.4㎡(약 1152평) 매입
2014년 - 일본 정부·교토부·우지시 참여 주거환경 개선검토 협의회, 새로운 마을 만들기 기본구상 발표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