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서로에게도 투명인간이었던 투명인간들

2020년 1월부터 609일간 서울시 무연고 사망자 1216명
영등포 경인로 9명, 엇비슷하게 가난했고 아팠지만 서로를 몰랐던 단절된 삶
등록 2021-10-19 15:59 수정 2021-10-27 02:15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골목에 그려진 벽화들.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골목에 그려진 벽화들.

최근 몇 년간 무연고 사망과 고독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노년층뿐 아니라 20~50대 청장년층에서도 늘어나는 추세다. 무연고사와 고독사의 원인이 되는 빈곤, 관계 단절, 우울, 고립감 등을 더 이상 개인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다뤄야 하는 이유다. 영국과 일본은 국가 차원에서 이 문제에 대처한다. 영국은 2018년 ‘외로움부’를 설립해 담당 장관직을 신설했고, 일본도 2021년 고독·고립 문제 담당 장관직을 만들었다.
한국에서도 2021년 4월부터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됐다. 보건복지부가 5년마다 고독사 실태조사를 하고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을 세우도록 했다. 정부는 2022년 초 실태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고립과 단절 문제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뒤늦은 감이 있다.
무연고 사망과 고독사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한 시간(통상 3일)이 흐른 뒤에 주검이 발견되는 죽음을 말한다. 무연고 사망이란 연고자가 없거나, 연고자를 알 수 없거나, 연고자가 있지만 주검 인수를 거부·기피하는 경우를 뜻한다. 연고자는 부모, 자식, 형제자매 등만 인정된다.
<한겨레21>은 202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609일 동안 공영장례를 치른 서울 무연고 사망자 1216명에 관한 자료를 분석했다. 서울시 무연고 사망자의 공영장례를 지원하는 나눔과나눔의 도움을 받아, 무연고 사망자의 연령과 주거지, 사망 원인 등을 다각도로 살폈다. 6개월여 서울 영등포와 동자동 쪽방촌을 찾아다니며, 무연고 사망자들의 가족과 지인을 만났다. 공영장례가 치러지는 서울시립승화원을 여러 차례 방문하며 살아 있을 때 잘 보이지 않았고 죽고 나서야 무연고 사망자라는 숫자로 기록된 이 ‘투명인간’들의 지난 삶의 퍼즐을 모으고자 했다. 이들이 투명인간이 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이 드러나야, 정부와 사회가 무연고 사망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제1384호에서는 무연고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이들의 삶을 추적했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고립이 심해지면서 지난 1년간 무연고 사망자가 크게 증가한 추세, 2020년 무연고 사망자 665명의 사망 원인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관련 보도는 다음호 제1385호에서도 이어진다.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무연고 사망이 더는 우리 일상과 멀리 있지 않은 현실, 앞서 대책을 마련한 영국과 일본의 사례 등을 깊이 있게 다룰 예정이다._편집자주

*쪽방 주민들과 관리인, 쪽방 주소는 모두 가명입니다.

환한 햇빛이 작은 창을 통해 쏟아져 들어왔다. 무연고 사망자 허일남(66)이 살았던 서울 영등포구의 쪽방은 눈이 시릴 정도로 볕이 잘 들었다.

영등포구 무연고 사망자 134명

허일남의 생애 마지막 거처는 일세 5천원짜리 3.3㎡(한 평) 쪽방이다. 텔레비전이 있는 방은 일세 8천원, 없는 방은 5천원이다. 그의 방엔 텔레비전이 있지만 켜지지 않아 방값을 5천원만 냈다. 볕은 눈부셨지만, 방은 엉망이었다. 여닫이문 위쪽 유리는 다 깨져서 밖에서도 방 안이 훤히 들여다보였다. 구겨진 신문과 이불, 먼지와 담배꽁초 등이 어수선하게 뒤엉킨 채, 빈방은 방치돼 있었다. 허일남이 많이 아파 경기도 군포의 요양병원으로 옮겨간 뒤 이 방에 들어온 주민이 작은 화재를 내는 바람에 이렇게 엉망이 됐다. 엉망이 되어버린 방의 모습은 허일남의 삶과 겹쳐 보였다. 그는 2019년 12월 요양병원에서 생을 마감했다. 사인은 패혈증이었다.

허일남이 살던 쪽방에서 가깝게는 10m, 멀어도 150m 남짓 떨어진 근처 쪽방에 살다가 무연고 사망한 이가 9명에 이른다. 202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서울시 무연고 사망자 공영장례를 치른 1216명의 주소지를 일일이 입력해, 같은 주소지에서 숨진 이들만 따로 뽑아낸 결과다. 서울 영등포구 경인로1 2층짜리 쪽방 건물에 2명, 경인로2 4층 건물에 3명, 경인로3과 4의 건물에 각각 2명씩 같은 주소지에서 살다가, 차츰차츰 하나둘 세상을 떠났다. 이들 9명은 어딘가 닮아 있었다. 가난했고, 몸과 마음이 아팠고, 술을 마셨다. 물이 낮은 곳에 고이듯, 빈곤과 질병이 쪽방들에 고였다. 9명 모두 기초생활수급자였다. 사회적 관계망도 단절됐다.

‘서울 영등포구 경인로’로 주소가 시작되는 영등포 쪽방촌에는 이들 9명처럼 가난, 질병, 관계 단절, 알코올중독 등 바닥의 삶을 버텨내는 ‘투명인간’들이 모여 산다. 쪽방은 ‘약 0.5~1평 규모의 작은 방으로 보증금 없이 일세나 월세를 내는 무허가 숙박시설’을 뜻한다.1 1970년대 성매매집결지와 여인숙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영등포 쪽방촌에는 현재 67개의 쪽방 건물이 있다(2020년 말 기준). 그 안에 벌집처럼 쪽방 531개가 들어차 있고, 거주하는 이는 500명 안팎이다. 남성이 75%, 여성이 25%다. 기초생활수급자는 63%에 이른다.2 이곳의 평균 월세는 22만원이다. 단열과 난방은 물론이고 위생상태도 매우 열악하다. 쪽방 건물의 약 70%는 건물 등기부등본도 없는 무허가 건물이다. 쪽방 주인인 토지소유자들은 외부에 살면서 건물 관리인에게 전세로 건물을 임대해주고, 관리인은 쪽방 주민들에게 월세나 일세로 방을 빌려준다. 서울 쪽방 주민들의 월평균 소득은 70만3천원이고, 연락 가능한 가족이 없는 이가 66.4%에 이른다. 5~15년 거주한 주민(42.8%)이 가장 많고, 15년 이상(28.1%), 5년 미만(26.3%) 거주자가 그 뒤를 잇는다.2

서울시 무연고 사망자 공영장례를 지원하는 나눔과나눔이 202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서울의 25개 구청에서 받은 공문을 정리한 자료를 보면, 609일 동안 무연고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자치구는 영등포구(134명)다. 무연고 사망자 10명 중 1명(11%)은 영등포구에서 나왔다. 영등포 쪽방과 함께 종합지원센터, 임시보호시설 등 노숙인 지원 시설이 모여 있는 영향으로 보인다.

그들 삶의 퍼즐 조각을 모아보면,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았던 무연고 사망자 삶의 실태가 어떠했고, 어떤 사회적 대책이 필요한지 어렴풋이나마 그려볼 수 있을 듯했다. 영등포 쪽방촌에서 이웃으로 살았던 ‘투명인간들’ 9명 삶의 자취를 따라가보기로 한 이유다.

이탁영(53)이 살았던 영등포구 경인로4 쪽방 복도. 그는 이 복도 맨 끝 왼쪽 방에서 살았다.

이탁영(53)이 살았던 영등포구 경인로4 쪽방 복도. 그는 이 복도 맨 끝 왼쪽 방에서 살았다.

허일남 어릴 때부터 무너져내린 인생

허일남의 삶도 처음엔 그가 살던 쪽방처럼 밝은 볕과 함께 시작됐다. 그는 삼대독자 집안에서 맏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귀한 아들을 얻었다는 의미로 ‘한 일’(一)자를 넣어 아들 이름을 손수 지었다. 영관급 장교인 아버지와 생활력 좋은 어머니가 꾸린 서울 종로 집에서 장남으로 태어난 그의 시작은 행복했다.

행복은 길지 않았다. 아버지는 엄격했다. 초등학교 때 아버지가 허일남에게 천자문을 가르쳤다. 허일남은 아버지가 무서웠다. 아버지가 뭐라고 하면 알고 있던 것도 잊어버릴 지경이었다. 틀리면 손찌검이 이어졌다. 영조가 아끼던 아들 사도세자를 뚜렷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잡았듯, 아버지도 허일남을 잡았다. 어린 허일남은 크게 주눅들었다. 아버지는 술을 마시면 아내와 허일남을 두드려 팼다. 허일남의 둘째 여동생 허수영(62)은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나는 맞지 않았지만, 아버지가 퇴근해서 귀가하는 저녁이 되면 불안에 떨었어요. 또 폭력이 시작될 테니까. 그 어린 나이에 아버지란 존재가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강한 아버지가 없어지지 않을 거 같으니까 내가 사라지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만큼 스트레스가 심했어요. 내가 그 정도였으니 피해 당사자였던 오빠는 오죽했겠어요.”

지옥에서도 시간은 흘렀다. 성인이 된 허일남은 군복무를 마쳤다. 밥벌이를 시작했다. 20대 중반이던 1980년대 초 한창 ‘말죽거리 신화’ 개발 붐이 일던 서울 강남에서 부동산업에 뛰어들어 돈을 벌기도 했고, 남대문시장에서 옷 도매 일도 했다. 성악을 전공한 여성과 연애도 했다. 하지만 다시 지옥이 도래했다. 이번 지옥은 피해자였던 허일남 스스로 만들었다. 허일남도 술을 마셨다. 음주 뒤엔 난폭해졌다. 애인을 때렸다. 이를 본 허수영은 “무서웠다. 아버지를 다시 보는 것 같았다”고 했다.

알코올중독의 부정적 결과 중 하나는 대를 잇는 중독의 세대전이 현상이다. 음주 지속과 중독 과정에서 삶이 서서히 붕괴돼간다. 일상 붕괴는 건강 악화는 물론 직장에서의 위기, 가족 갈등과 해체, 사회관계 고립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한다.3 1980년대 후반 이후 허일남은 “막 살았던 것 같다”(허수영).

20년 가까이 단절의 세월이 흘렀다. 2000년대 중반쯤 허수영은 오빠의 연락을 받았다. 50대 초반이 된 허일남은 서울의 한 알코올중독 전문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병원에서 꺼내달라”고 했다. 허수영은 “오빠가 거기에 있는 게 좋겠다”고 답했다. 그러자 허일남이 “이가 빠졌으니 치과 치료를 좀 받게 해달라”고 했다. 허수영은 치료 비용을 부담했다. 그게 마지막이었다. 그 뒤론 소식을 알지 못한다. 허수영은 “선하고 성실했던 오빠가 부모를 잘 만났으면 잘 살았을 텐데…”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②'연인도 인연도 남김없이'로 이어집니다.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064.html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글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사진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한겨레21>이 서울 무연고 사망자 1216명에 대한 기록을 담은 인터랙티브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주소창에 remember.hani.co.kr을 입력해주시면 인터랙티브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한겨레21>이 서울 무연고 사망자 1216명에 대한 기록을 담은 인터랙티브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주소창에 remember.hani.co.kr을 입력해주시면 인터랙티브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참고 문헌
1. 유재득·심복기, ‘영등포 쪽방촌 거주자의 주거환경 특성에 관한 분석’, 2014년
2. 서울시 복지정책실, ‘2020년 서울시 쪽방촌 거주민 실태조사 결과’(2020년 12월 말 기준)
3. 강향숙, ‘알코올중독으로부터 회복 중인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생애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2015년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